'블로그'에 해당되는 글 4건
2008. 1. 31. 17:16
[일상/잡담]
어제 밤부터 이 블로그에 대한 접속이 불가능했다. 나는 서버가 있는 학교 네트워크의 일시적 장애려니 생각했는데, 아침에 와서 보니 골치아픈 상황이었다.
Dynamic DNS (DDNS) 서비스를 제공하는 dnip.net (이 블로그 주소 slowtime.dnip.net의 뒷부분!)의 서비스가 다운된 것이다.
나는 지금 학교에 서버를 두고 있지만,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른다. 그래서 IP 주소가 바뀌어도 같은 인터넷 주소를 쓸 수 있도록, dnip.net이 제공하는 DDNS 서비스를 써서 slowtime.dnip.net이란 정해진 이름(도메인 이름)을 만든 것이다. (IP 주소가 바뀌면 dnip.net에 새로 바뀐 주소를 알려주면 된다.) 가정용 인터넷 서비스(컴퓨터를 켤 때마다 IP 주소가 바뀔 수 있다)를 쓰는 사용자가 도메인 이름을 갖고 서버를 운영할 때 꼭 필요한 기능이다. dnip.net 외에도 여러 서비스 업체가 있다.
어쨌든, 꼭두새벽부터 다운된 서비스는 방금 오후 서너시 이후가 되어서야 복구되었다. 그동안 아무도 내 블로그에 접속할 수 없었고 (IP 주소를 알 수 없으니까), 나 역시 많은 불편을 겪었다. 텍스트큐브 관리자 모드로 들어갈 수 없어서, 혹시나 영영 서비스가 복구되지 않으면 백업은 어떻게 해야하나 고민하는 막막한 상황이었다.
살펴보니 dnip.net은 우리 나라 업체의 서비스였고, 회사 사정은 알 길이 없으나 수익이 되는 사업은 아닌 것 같았다. 그러나 꽤 많은 사람들이 이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었다는 것은 수많은 *.dnip.net 도메인 검색 결과에서 짐작할 수 있다. 아마도 도메인 등록 비용이 부담스러운 사람이나 단체들의 홈페이지일 것이다. 이들 모두 오늘 오후까지 얼마나 많은 불편을 겪었을까? (불만을 표현하고 싶어도 블로그에 글을 쓸 수 없는 상황이었으니...)
이런 일이 또 없으리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 그럼 대책은?
1. 도메인 이름을 새로 등록한다. 대신 돈을 내야 하고, 바뀐 이름을 알려야 한다.
2. 다른 DDNS 서비스 업체로 바꾼다. 그러나 도메인 이름이 바뀌므로 알려야 한다.
3. 설치형 블로그를 포기하고, 가입형 블로그로 바꾼다. 제약이 많고, 역시 이름은 바뀐다.
4. 그냥 참고 쓴다. (언제까지?)
세상 만사 늘 이모양이다. ㅠㅠ
Dynamic DNS (DDNS) 서비스를 제공하는 dnip.net (이 블로그 주소 slowtime.dnip.net의 뒷부분!)의 서비스가 다운된 것이다.
[wp.en]Dynamic DNS[/wp] - 자주 바뀌는 도메인 이름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네임서버에 보관하는 시스템. 일반적으로, 변하는(dynamic) IP 주소를 가진 컴퓨터에 인터넷 도메인 이름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면 IP 주소의 변경을 추적하지 않고서도 인터넷의 다른 곳에서 그 컴퓨터로 접속할 수 있다.
나는 지금 학교에 서버를 두고 있지만,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른다. 그래서 IP 주소가 바뀌어도 같은 인터넷 주소를 쓸 수 있도록, dnip.net이 제공하는 DDNS 서비스를 써서 slowtime.dnip.net이란 정해진 이름(도메인 이름)을 만든 것이다. (IP 주소가 바뀌면 dnip.net에 새로 바뀐 주소를 알려주면 된다.) 가정용 인터넷 서비스(컴퓨터를 켤 때마다 IP 주소가 바뀔 수 있다)를 쓰는 사용자가 도메인 이름을 갖고 서버를 운영할 때 꼭 필요한 기능이다. dnip.net 외에도 여러 서비스 업체가 있다.
어쨌든, 꼭두새벽부터 다운된 서비스는 방금 오후 서너시 이후가 되어서야 복구되었다. 그동안 아무도 내 블로그에 접속할 수 없었고 (IP 주소를 알 수 없으니까), 나 역시 많은 불편을 겪었다. 텍스트큐브 관리자 모드로 들어갈 수 없어서, 혹시나 영영 서비스가 복구되지 않으면 백업은 어떻게 해야하나 고민하는 막막한 상황이었다.
살펴보니 dnip.net은 우리 나라 업체의 서비스였고, 회사 사정은 알 길이 없으나 수익이 되는 사업은 아닌 것 같았다. 그러나 꽤 많은 사람들이 이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었다는 것은 수많은 *.dnip.net 도메인 검색 결과에서 짐작할 수 있다. 아마도 도메인 등록 비용이 부담스러운 사람이나 단체들의 홈페이지일 것이다. 이들 모두 오늘 오후까지 얼마나 많은 불편을 겪었을까? (불만을 표현하고 싶어도 블로그에 글을 쓸 수 없는 상황이었으니...)
이런 일이 또 없으리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 그럼 대책은?
1. 도메인 이름을 새로 등록한다. 대신 돈을 내야 하고, 바뀐 이름을 알려야 한다.
2. 다른 DDNS 서비스 업체로 바꾼다. 그러나 도메인 이름이 바뀌므로 알려야 한다.
3. 설치형 블로그를 포기하고, 가입형 블로그로 바꾼다. 제약이 많고, 역시 이름은 바뀐다.
4. 그냥 참고 쓴다. (언제까지?)
세상 만사 늘 이모양이다. ㅠㅠ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정보통신대학교(ICU) 개교10주년 (0) | 2008.04.23 |
---|---|
생각합니다-생각됩니다-생각되어집니다 (0) | 2008.03.09 |
과학적 사기와 정치, 그리고 대운하 사업 (0) | 2008.01.30 |
올해 공휴일은 무슨 요일이지? - 공휴일 요일표 (1) | 2008.01.01 |
투표를 앞두고 고민한다. (0) | 2007.12.18 |
2007. 10. 18. 02:06
[일상/잡담]
한나라당은 구글과 올블까지 장악할 수 있을까? - twinpix
정두언 의원, 블로그를 모독하지 마쇼 - 크리티카
위의 글을 읽고 현행 공직선거법과 선거관리위원회의 단속에 대해 다시 생각해 봅니다.
오늘(2007년10월17일) 선관위 국정감사에서 한나라당 국회의원 정두언씨는 불법 선거운동에 대한 선관위의 안이한 대응을 질타했답니다. 보도자료에서 인용하겠습니다.
대부분 삭제요청에 그치고 있습니다. 선관위가 게을러서 그런 걸까요?
국회의원 정두언씨의 요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이버부정선거감시단을 확충하여 삭제요청 이상의 적극적 감시활동을 강화하라.
'언론도 아닌 것'은 입 닫으라는군요. 아래 화면이 보기 싫은가 봅니다.
한나라당에서 네거티브 유포, 싸이버 테러라고 하니 김연수님의 "대통령 이명박, 괜찮을까?"가 얼른 떠오릅니다. 그분의 과거를 밝히면 테러가 되는 세상입니다. 조만간에 올블로그에도 선관위의 공문이 날아오겠군요.
선거기간 중에는 선거에 대해 국민들이 아무 말도 못하는,
선거법이 잘 지켜지는 이런 나라, 참 살기 좋겠습니다.
정두언 의원, 블로그를 모독하지 마쇼 - 크리티카
위의 글을 읽고 현행 공직선거법과 선거관리위원회의 단속에 대해 다시 생각해 봅니다.
오늘(2007년10월17일) 선관위 국정감사에서 한나라당 국회의원 정두언씨는 불법 선거운동에 대한 선관위의 안이한 대응을 질타했답니다. 보도자료에서 인용하겠습니다.
■ 뛰는 선관위 감시 위에 나는 사이버선거법위반!!
- 17대 대통령 선거관련 사이버선거법위반 단속 실적 25,135건
- 25,135건중 고발, 수사의뢰, 경고 등 실제적인 제재조치는 0.08%에 불과!
- 메타 블로그를 통해 외국 사이트에 개설한 블로그를 활용한 신종 사이버선거법위반 성행! 선관위 무대책으로 일관!
- 17대 대통령 선거관련 사이버선거법위반 단속 실적 25,135건
- 25,135건중 고발, 수사의뢰, 경고 등 실제적인 제재조치는 0.08%에 불과!
- 메타 블로그를 통해 외국 사이트에 개설한 블로그를 활용한 신종 사이버선거법위반 성행! 선관위 무대책으로 일관!
선관위의 17대 대선 관련 사이버선거법위반 단속 실적 현황은 참고할만한 자료입니다.
대부분 삭제요청에 그치고 있습니다. 선관위가 게을러서 그런 걸까요?
국회의원 정두언씨의 요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이버부정선거감시단을 확충하여 삭제요청 이상의 적극적 감시활동을 강화하라.
아무런 법적 조치 없는 임시방편의 대처로는 불법선거운동을 더욱 조장하는 결과만 초래 할 것임. 따라서 강력한 조치를 하기위해서는 사이버자동검색시스템에 올라온 위법사례들을 사이버부정선거감시단을 확충하여 삭제조치외에 고발 조치 등 적극적 감시활동이 되어야 함.
한마디로 '본때를 보여 주라!'는 얘깁니다.
2. 네이버를 본받아 다른 포털에서도 선거와 관련한 댓글 달기를 억제시키도록 하라.
현재 네이버라는 포탈싸이트에서는 선거기간 중 선거와 관련한 댓글 달기를 봉쇄해 놓아 사전에 위법이 발생하지 않게 유도하고 있음. 이처럼 다른 포탈싸이트에도 적용할 수 있게끔 선관위 지도가 필요함.
'댓글 없는 포탈'을 꿈꾸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타의 모범이군요.
3. 새로운 네거티브 방식인 블로그와 메타블로그를 감시하라.
현재 가장 많은 사이버선거법위반을 저지르는 것은 각 홈페이지가가 아니라 기하급수적으로 퍼지는 블로그임. 특히 올블로그 처럼 블러그를 링크시키는 메타블로그 싸이트가 가장 큰 문제임.
이는 현재 한나라당 후보의 네거티브 유포의 진원지로 활동하고 있음. 언론도 아닌 것이 블로그의 포털로 기능하면서 싸이버 테러에 가까운 사이버선거법위반을 저지르고 있음. 특히 블로그가 국내 블로그 사이트가 아닌 미국의 등 외국 사이트를 이용 블로그를 개설하여, 신원사항을 감추고 블로그 활동을 하고 있음으로 인해 선관위나 사이버수사대의 수사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교묘히 이용하고 있음.
'언론도 아닌 것'은 입 닫으라는군요. 아래 화면이 보기 싫은가 봅니다.
한나라당에서 네거티브 유포, 싸이버 테러라고 하니 김연수님의 "대통령 이명박, 괜찮을까?"가 얼른 떠오릅니다. 그분의 과거를 밝히면 테러가 되는 세상입니다. 조만간에 올블로그에도 선관위의 공문이 날아오겠군요.
대통령 후보를 비판하면 경찰서 가는 나라
선거 기사에 댓글이 없는 나라
언론도 아닌 것들은 목소리를 못 내는 나라
인터넷에 실명만 나오는 나라
선거 기사에 댓글이 없는 나라
언론도 아닌 것들은 목소리를 못 내는 나라
인터넷에 실명만 나오는 나라
선거기간 중에는 선거에 대해 국민들이 아무 말도 못하는,
선거법이 잘 지켜지는 이런 나라, 참 살기 좋겠습니다.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각에 대한 기억의 투쟁 (0) | 2007.11.01 |
---|---|
고속버스 뒷자리에서 생각하는 정치 우화 (0) | 2007.10.19 |
한글은 언제, 누가 만들었을까? (한글날과 집현전) (9) | 2007.10.09 |
네이버 무료 백신 논란 - 사용자의 입장에서 (6) | 2007.10.08 |
자본주의적 통일이 아닌, 민족의 평화 공존 (0) | 2007.10.04 |
2007. 5. 2. 17:24
[일상/잡담]
가끔 리퍼러(referer) 기록을 살펴보는 것은 모든 블로거의 호기심 어린 습관이다.
'어떻게 해서 넓은 인터넷의 이런 구석까지 찾아 오셨을까?'하는 궁금증.
그런데 이건 너무 노골적이지 않나?
(네이버에서 위의 단어로 검색하셨군요.)
누구신지 알 길은 없지만 학교에서의 모습과는 좀 다른 저를 발견하셨을지도 모르겠네요. ^^
이 블로그에서 조금만 찾으면 신상 명세야 쉽게 나오긴 하지만, 조금 부끄러운건 어쩔 수 없다. 뭐, 어쩌랴.
사나흘 급증했던 방문객도 이제 원래대로 돌아오는데, 리퍼러 들추기도 이제 자중하련다.
날씨가 좋다.
'어떻게 해서 넓은 인터넷의 이런 구석까지 찾아 오셨을까?'하는 궁금증.
그런데 이건 너무 노골적이지 않나?
(네이버에서 위의 단어로 검색하셨군요.)
누구신지 알 길은 없지만 학교에서의 모습과는 좀 다른 저를 발견하셨을지도 모르겠네요. ^^
이 블로그에서 조금만 찾으면 신상 명세야 쉽게 나오긴 하지만, 조금 부끄러운건 어쩔 수 없다. 뭐, 어쩌랴.
사나흘 급증했던 방문객도 이제 원래대로 돌아오는데, 리퍼러 들추기도 이제 자중하련다.
날씨가 좋다.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무 어려운 우리말 맞춤법 (만둣국? 참칫국?) (0) | 2007.05.08 |
---|---|
이건 무슨 나무의 열매인가요? (2) | 2007.05.07 |
도넛 vs. 블로거 - 삭제요청 메일 한 통에 블로그 따위는 벙어리? (11) | 2007.04.28 |
정치적인 뉴스 - 누구의 말을 믿어야 하나? (0) | 2007.04.17 |
우리 딸 바란이의 만행, 혹은 인간관계 회복 프로젝트 (1) | 2007.04.12 |
2007. 4. 28. 03:18
[일상/잡담]
©allblog.net
사실
며칠 전 커뮤니티 게시판에서 (24일 밤 pgr21 유머란에 올라왔다는 걸 구글의 저장된 페이지에서 나중에 확인) 흥미로운 글과 사진을 보았다. 이른바, "XX도넛의 진실". 그 주장은 대충,
"XX도넛은 깨끗하고 안전하지 않다."
비위생적인 공장 설비와 참고인들의 진술서, 기타 내부 문건으로 이루어진 이 글에는 많은 댓글이 달렸고, 나 역시 그 출처와 진위가 궁금했기에 검색을 해 본 결과, 다음 카페 "안티도넛던킨도넛"에 이르게 되었다. 거기서는 이런 자료에 근거하여 해당 업체에 대해 소송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리고 사람들이 그 글을 게시판과 블로그로 한창 퍼나를 무렵, 아래의 상황처럼 게시판의 그 글도 사라졌다.
재수없는 던킨 도너츠
던킨 도너츠, 장난하냐? 장난해?
던킨 도너츠, 먹을 게 못된다?(내용수정)
이들 포스트를 보면 상황이 한눈에 보이리라. 해당 업체의 홍보대행사가 권리침해 신고서를 날리면서 놀라운 속도로 인터넷에서 문제의 글과 사진을 청소하고 있다. 다음의 안티 카페에서는 모든 글이 사라졌고, 대형 포털이나 가입형 블로그 서비스에 속한 블로그는 업체를 통해, 독립 블로그는 주인에게 직접 메일을 보내, '법적 대응'을 언급하며 삭제를 요청하고 있다. (이 정도의 청소 스피드는 예전의 "연예인 X파일" 이후 처음이다.)
생각
이것이 신속한 대처 방법일 수는 있겠다. 그러나 효과적이고 근본적인 방법은 절대로 아니다. 오히려 사람들에게 '뭔가 꿀리는게 있지 않고서야...'라는 생각을 심어주는, 그리하여 사실이든 아니든 (이제는 희귀 자료가 되어가는) 그 글과 사진에 더 큰 힘을 실어주는 결과를 낳을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문제가 된 자료는 그 자체로 오해의 여지가 없는, '사실'의 조건을 갖춘 근거들이다. 그러나 업체의 대응은 우리 사회의 전형적인 '사실 덮어버리기'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오해를 풀 수 있는 방법은 일방적인 강요가 아니라 이해시키는 대화이다. 업체는 정당한 의혹에 대해 객관적 증거를 내놓아야 한다. 공장을 공개하고, 성분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직원들의 근무 조건을 제대로 알려주지 못할 이유가 무엇인가?
한편, 일인 미디어, 웹2.0 등으로 화려하게 치장되던 블로그 역시 '법적 대응' 한 마디에 대부분 꼬리를 내렸다. (현상을 얘기할 뿐, 블로거들의 고뇌를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 블로그나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은 복잡한 법적 책임을 피하기 위해 너무나 쉽게 글을 삭제하고 서비스를 (일시로) 중지시킨다. 영업 방해라는 구체적 사안 앞에서 실질적으로 이익을 낳지 못하는 소통의 권리는 약관에 의거하여 정당하게 무시된다. 그럼에도 우리는 몇몇 사람들의 배짱과 소신에 기대어 판단의 기초적 근거들을 아직은 접할 수 있다.
이 사건은 쉽게 수그러들지 않고 수많은 블로거와 회사의 소송으로 비화될지 모른다. 그러나 이 점은 분명하다. 나를 포함한 블로거들은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정보를 그냥 묵혀두지 않는다는 것. 루머에는 사실로 대응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넷은 넓다는 것.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건 무슨 나무의 열매인가요? (2) | 2007.05.07 |
---|---|
이런 리퍼러를 보니 무섭군요. (0) | 2007.05.02 |
정치적인 뉴스 - 누구의 말을 믿어야 하나? (0) | 2007.04.17 |
우리 딸 바란이의 만행, 혹은 인간관계 회복 프로젝트 (1) | 2007.04.12 |
다음 검색, 낚시질의 복수냐? (0) | 2007.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