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1. 30. 19:08
[일상/잡담]
작년 5월경에 TV를 보고 쓴 글이 있다.
KBS 스페셜 <신기술이 만든 풍경 - '대박과 의혹'>
KBS 제작진들의 문제제기가 타당했고 의혹을 받는 쪽에서는 공정한 실험을 거부했기에 누구의 주장이 옳은지를 추측하는 것은 어렵지 않은 일이었다. 다만 관련된 사람들과 조직들이 사실을 감당할 수 있는지가 문제가 될 뿐.
그리고 오늘 뉴스에 문제의 '나노 이미지센서'와 플래닛82가 다시 나왔다.
'신기술개발 허위 유포' 플래닛82 대표 구속(종합) - 연합뉴스 2008.1.30.
결국 사실이 밝혀지는데 2년이 넘게 걸렸고, 소수는 돈을 벌었을지 모르지만 많은 사람들이 큰 손해를 보았다. 그러나 자연과학이나 공학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라면 어땠을까? 예를 들어, 식민지 근대화론은 광복 후 60여년이 지난 지금도 논쟁 중이다. 우리는 그런 주장들을 검증할 과학적 도구를 아직 갖지 못한 것일까? 아니면, 누가 봐도 분명한 결론이 정치적으로 왜곡되고 있는 것일까?
예전에 <상상의 세계>의 아래 구절을 읽고 나는 이렇게 생각했다(2005년이었다).
"정치 문화에서 지도자들은 <내가 모든 일에 책임을 진다>라고 말함으로써 존경을 받는다. 기술 문화는 다르다. 기술자들은 <안전이 최우선이다>라고 말함으로써 존경을 받는다."
이명박 서울시장이 경부운하를 대선공약으로 내세웠다. 나는 자세한 사업 계획을 찾아서 읽고 지도를 통해 해당 지역의 지형을 살펴보았다. 부디 공정한 비용-편익 계산을 거쳐 정책을 결정했으면 좋겠다. 결론을 미리 내놓고 "모든 것을 내가 책임지겠다"는 식으로 나간다면 그것의 결과는 분명하다.
이명박 서울시장이 경부운하를 대선공약으로 내세웠다. 나는 자세한 사업 계획을 찾아서 읽고 지도를 통해 해당 지역의 지형을 살펴보았다. 부디 공정한 비용-편익 계산을 거쳐 정책을 결정했으면 좋겠다. 결론을 미리 내놓고 "모든 것을 내가 책임지겠다"는 식으로 나간다면 그것의 결과는 분명하다.
그러나 현실은 이렇다.
전문가들이 구체적인 타당성 검토에 들어간다고 해도 과연 그 평가 결과가 얼마나 신빙성을 가질 것이냐는 계속 의문으로 남는다. 과거의 굵직한 국책사업들, 예를 들어 경부고속철이나 새만금 같은 사업의 타당성 평가결과를 보면 그런 의문을 갖는 것이 그리 이상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동안 내가 그와 같은 사업의 평가과정에 간여하면서 알게 된 한 가지 사실이 있다. 그것은 정부가 원하는 사업이면 반드시 경제적 타당성이 있다는 쪽으로 결론이 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다. - 이준구, "걱정이 앞서는 대운하사업"
과학적 사기는 대부분 실패한다. 그러나 정치적 사기는 성공하면 대박, 들통나도 그만이다. 사람(지지자)들의 믿음에 기대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정치라는 것에 과학의 기준을 들이댈 일은 아니지만, 과학이 정치의 기준을 따를 수밖에 없는 현실은 불행하다.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합니다-생각됩니다-생각되어집니다 (0) | 2008.03.09 |
---|---|
dnip.net의 갑작스런 다운에 대책을 고민하면서 (0) | 2008.01.31 |
올해 공휴일은 무슨 요일이지? - 공휴일 요일표 (1) | 2008.01.01 |
투표를 앞두고 고민한다. (0) | 2007.12.18 |
승리의 곰플, 승리의 KMP! (한나라당을 위한 코덱 강의) (5) | 2007.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