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정치 토론장이 어떤 모습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는 들어가 보면 안다. 적어도 네이버 뉴스에서 정치 토론은 사라졌다. (포털 뉴스 점유율에서 다음이 네이버를 앞지른 사건은 상징적인 결과이다.) 벼룩을 잡기 위해 초가집을 태운 이 방식은, 어쨌든 정치적 관심이 지나친 일부 국민들을 진정(?)시키는 데는 효과적임이 드러난 것이다. 그러다보니 다음 글처럼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응용되기도 한다.
네이버의 잔머리, 정말 안습이다 - soyoyoo.com
그러나 "삼성=한국경제"란 등식을 단순 암기하고 있던 네이버는 최근 치명적인 실수를 저질렀다. 삼성 비자금 사건을 경제 기사로 간주, 기사에 댓글을 달 수 있게 허용했던 것이다. 그러니 삼성 비자금 기사들마다 댓글로 시끄러울 수밖에.
특검법안이 나오고 정치권이 움직이면서 새로 나오는 관련 기사는 '다행히' 정치 뉴스로 분류되어 위에서 본 친절한 안내문이 나온다. 그러나 아래 그림처럼 경제 섹션에 있으면서 댓글을 달 수 없는 기사들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리의 곰플, 승리의 KMP! (한나라당을 위한 코덱 강의) (5) | 2007.12.17 |
---|---|
'위대한 국민'의 자격 (2) | 2007.12.05 |
리퍼러 목록에서 느끼는 불안감 (1) | 2007.11.14 |
양극화의 나사와 검은 양복 (0) | 2007.11.09 |
두 가지 생각: 고액권 초상인물 선정과 <정조 이산>의 노론 (0) | 2007.11.08 |
집과 학교에 PC가 있다보니 바이러스를 막기 위해 백신을 쓰고 있습니다. Windows XP에서는 보안 차원에서 백신이 없거나 최신이 아닐 때 경고를 하고 있죠. 저는 몇 년 전만 해도 학교에서 구성원들을 위해 라이센스를 맺은 제품(V3, 바이로봇 등)만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아닙니다.
현재 학교 PC에는 전산실의 정책에 따라 V3 Internet Security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업데이트 및 보안 정책이 전산실에서 관리됩니다. 그러나 집의 PC 두 대는 각각 AOL에서 무료 배포했던 Active Virus Shield (Kaspersky의 엔진을 사용했고, AOL은 현재 다른 백신을 배포 중)와 avast! 4 Home Edition을 쓰고 있습니다. 둘 다 무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Active Virus Shield 같은 경우는 AOL과 Kaspersky의 계약이 끝났음에도 업데이트가 계속 제공되더군요. avast!는 한글판도 있습니다. 물론 이 밖에도 좋은 무료 백신이 많습니다. 저는 이들 백신에 대한 정보를 주로 여름하늘님의 블로그 SkySummer.com에서 얻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무료 백신 논란
나는 개인 사용자들에게 무료로 백신을 배포하는 업체들이 어떤 생각에서 그렇게 하는지 별 관심이 없다. 보안 쪽은 개인 시장에 비해 기업 시장이 훨씬 크다는 정도 밖에는 모른다. 나의 관심은 내 PC들을 보호하기 위해 가장 싸고 믿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믿을 만한 자료들은 국내의 몇몇 백신 SW보다 해외 무료 백신이 더 좋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아마도 이런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으리라. 그런데 세상이 쉽게 변하는 법은 없나보다.
최근 네이버가 'PC그린'이란 이름으로 무료 백신을 서비스하려다 무기한 연기하는 사건이 일어났다(기사 참고). 'PC그린'이란 서비스는 네이버 PC그린 1차 사용후기를 보면 바이러스/스파이웨어 검사 및 치료와 PC 최적화 도구이다. 바이러스 백신 부분은 유명한 Kaspersky의 엔진을 쓴다고 하니 국산 유료 백신과의 경쟁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우리 나라 보안업계는 이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고 있으며, 협상이 진행되고는 있겠지만 양 쪽의 생각은 평행선인 듯하다. 거대 포탈의 불공정 경쟁 vs. 누가 해도 해야 하는 중요한 일.
이 사안에 대해 블로그를 통해서도 서로 반대되는 주장이 나온다.
네이버와 무료백신에 관한 음모론 - Forget the Radio (팟캐스트 방송)
네이버에 대한 안철수 연구소의 한심한 딴지 - SkySummer.com
사실, 반대된다기 보다는 서로 다른 측면을 보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전자(음모론)는 네이버의 시장 확대 전략(음모?)에 대해 보안 업체들의 반발이 타당하다고 본다. 그리고 소비자의 선택권이 줄어들고 궁극적으로 소비자가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네이버라는 시장 지배적 사업자에 대한 경각심을 주문하고 있다.
반면 후자(딴지)는 구글과 AOL 등의 무료 SW 배포를 예로 들면서 공익적인 측면에서 무료 백신이 당연함을 얘기하고, 안티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인터넷 시장의 변화 - 플랫폼으로써의 웹 - 를 거부하는 안철수 연구소의 딴지가 소비자의 선택 기회를 없애고 있다고 주장한다. (내 생각도 마찬가지다.)
사용자의 입장
이런 논란의 보며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은, AOL이 Active Virus Shield를 배포할 때 우리 나라 백신 회사들이 왜 아무런 반발도 하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이다. 그러나 업무용 오피스 SW(OpenOffice.org)조차 무료로 배포되는 세상에서 딴 나라 회사의 정책에 딴지를 걸 배짱은 없었으리라. 앞서 소개한 글(음모론)에서는 네이버의 무료 백신이 불공정 거래(부당하게 낮은 가격, 부당한 고객 유인)에 해당할 수 있다고 얘기하는데, 그런 식으로라면 경쟁력 있는 모든 공개SW는 다 불법이게? 물론 우리 나라 인터넷 환경에서 AOL과 네이버는 차원이 다르다. 따라서 이 논란의 핵심은 '막강한 힘을 가진 네이버'의 사업 확장으로 인한 새로운 독점의 가능성이 될 수밖에 없다.
나를 포함한 많은 사용자들은 근시안적이다. 당장의 이익을 중시한다는 것이다. 사실 '불확실한' 미래의 이익을 지금 고려한다는 것은 듣기엔 좋아도 위험하고, 기대했던 결과를 얻기 어렵다. 이 경우에도 네이버의 무료 백신은 바이러스와 스파이웨어(악성코드) 때문에 몸살을 겪고 있는 개인 사용자들에게 단기적으로 큰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 분명하다. 자, 그렇다면 한 쪽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이것이 결국 네이버의 지배력을 키워서 우리 나라 보안 업체들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도 손해를 보는 상황을 불러오게 될까? 그런 상황은 얼마만큼 확실할까?
"이렇게 네이버가 무료 백신을 공급해서 안철수 연구소 등의 백신 업체가 망했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렇게 되면 이 땅에 네이버 말고는 백신 서비스 회사가 없어지고, 경쟁이 없는 독점 상황이 되면 네이버가 독점적 지위를 남용할 수 있습니다. 유료로 바꾼다거나, 부가 조건을 붙인다거나. 이렇게 해서 소비자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그 백신을 써야 하는, 독점적 서비스에 종속되는 위험한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 "네이버와 무료백신에 관한 음모론"에서 옮겨 적음.
그러나 나는 위의 시나리오에서 두 가지 점을 지적하고 싶다.
1. 네이버의 무료 백신 때문에 망해버릴 보안 업체라면 차라리 지금 당장 망하는 게 낫다. 혹시 지금 우리 나라 보안 업체들이 네이버의 무료 백신과 경쟁할 자신이 없다는 것인지? AOL이 배포한 AVS는 다시금 좋은 반례가 된다.
2. 네이버의 지배력은 제한적이다. 백신은 운영체제와는 다른, 독립적인 SW로 세계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이 일어나고 있는 분야다. "네이버 백신 안쓰면 네이버 못 써!"라는 황당한 정책이 통할 리도 없고, 네이버를 쓰면 무조건 네이버 백신이 자동으로 설치되게 만들 수도 없을 것이다. 요는 "울며 겨자먹기로" 네이버 무료백신을 쓸 사용자는 없을 것이란 말이다. 네이버 무료 백신 때문에 외국 보안 업체들이 망할까? 이 분야에 '한국적 특수성'이란 말장난일 뿐.
나는 Microsoft의 Windows가 독점적 상품임을 안다. 그리고 Internet Explorer와 Windows Media Player가 끼워팔기처럼 따라오면서 지금의 지위를 확보했다고 생각한다. 시장의 질서는 지배적 사업자에 의해 언제나 왜곡될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의 선택은 보호받아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또한 냉정하다. 과거의 Realplayer가 단지 Microsoft의 불공정행위에 의해서만 사라졌을까? 점점 사용자가 늘고 있는 Firefox 웹 브라우저의 성공은 어떠한가. 공정거래법 또는 반독점법의 취지는 경쟁 촉진과 이를 통한 소비자의 이익이다. 나는 네이버의 무료 백신이 이런 목적에 아주 잘 부합(!)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다른 포털, 다른 초고속 인터넷 업체들도 부디 좋은 무료 백신을 많이 배포하면 좋겠다.(엉터리 백신 말고!) 이는 단기적으로 소비자에게 이익이며, 장기적으로 배포 업체와 백신을 제작하는 보안 업체, 그리고 우리 사회 전체에 이익이 될 것이다.
PS.
한겨레21에 이 일을 다룬 기사가 있다. 죽음을 부르는 공짜의 유혹이라는 선정적인 제목으로.
이 ‘공짜’의 뒷면을 후벼보면 러시아산 엔진으로 저렴하게 백신의 틀을 갖추고 거기에 이름만 새로 붙여 공급하겠다는 심산이 드러난다. 일찌감치 국내 시장 진입을 노리던 러시아 업체로서도 괜찮은 선택이다. 하나 365일 24시간 대응 체제를 갖추고 보안 전문업체를 꾸려온 사람들 입장에서 보면 참으로 쉽게 시장을 뒤흔드는 꼴이다.Kaspersky 엔진을 "저렴한 러시아산" 짝퉁으로 치부하다니,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백신을 만드는 업체들 입장에서 보면 참으로 쉽게 기사를 쓰는 꼴이다. 기자는 다른 무료 SW에 대해서도 이런 주장을 펼 것인지 궁금하다.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거에 대해 아무 말도 못하는 나라 (8) | 2007.10.18 |
---|---|
한글은 언제, 누가 만들었을까? (한글날과 집현전) (9) | 2007.10.09 |
자본주의적 통일이 아닌, 민족의 평화 공존 (0) | 2007.10.04 |
먹고살기 힘들다고 가난한 사람들이 우익을 찍는 나라 (8) | 2007.09.30 |
인터넷은 즐거워 - DC의 대형 낚시 (1) | 2007.09.14 |
디씨인사이드(DC)야 인터넷 좀 한다는 사람이면 (평가야 어떻든) 다 아는 명물이다.
오늘 DC가 만들어낸 대형 낚시를 목격했다.
내용은, 며칠 전 축구선수 안정환과 상대팀 서포터즈 사이에 있었던 실랑이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다. 결론은 '선수에게 욕한 사람은 그 여자다.' 정도 될텐데, 그 근거가 너무 재미있다. 원문은 지워졌지만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그 글을 퍼날랐다.
DC 해당 게시판에 복사된 글
DC에서의 사건 조사과정을 정리한 글
여기서 DC 사용자들의 자부심과 긍지를 드높인 핵심은 이른바 '성문 분석'이다. 그 부분을 보자. (강조는 내가 했다.)
좀 이상하다. 통계학 시간에 배웠던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이 여기 왜 나오지? 그리고 성문(聲紋)은 영어로 voice print가 아닌가?사람의 성대가 모두 다르듯 사람의 목소리도 전부 다르며.
이를 디지털 주파수로 바꾸면 거의 모두 다른 주파수로 나옵니다.
예외인 경우는 쌍둥이이며 거의 99%는 사람에게 들리는 목소리는 비슷하지만 목소리를 주파수로 바꾸면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나옵니다.
미국에서 얕게 배웠지만 성문분석학을 배운 학생으로..
2002년 월드컵 이탈리아전의 국민전 영웅이자 선수인 안정환을 좋아하는 팬으로서 이번 관중석난입사건에 대해 조금이라도 오해를 풀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성문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해봤습니다.
(중략)
오차는 1/1000 차입니다
대충 이쯤되면 낚시질이란 걸 알 수 있다. 그냥 웃고 넘기려다 왜 이런 실수를 했을까 궁금해졌다. '음... 이정도 용어를 구사하려면 역시 네이버 검색을 썼겠지?' 싶어 나는 낚시꾼의 발자국을 쫓아보았다. 아래는 '성문분석'으로 네이버에서 검색한 결과 중 일부이다.
재미난 사실은, 전문자료라고 검색된, 네이버 지식시장에서 2,000원에 팔리는 두번째 자료의 국문 초록이다.
DC에 낚시글을 올린 사람은, '성분'을 '성문'으로 쓴 이 오타에 제대로 낚인 셈이다.
역시 인터넷은 즐거워.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주의적 통일이 아닌, 민족의 평화 공존 (0) | 2007.10.04 |
---|---|
먹고살기 힘들다고 가난한 사람들이 우익을 찍는 나라 (8) | 2007.09.30 |
생명을 살리기 위해 쓰이는 세금, 정치인들을 위해 퍼주는 세금 (2) | 2007.08.29 |
선거법 개정을 위해, 맘껏 떠들 권리를 위해 (0) | 2007.08.28 |
테러에 굴복하면 테러의 위협이 더 증가한다고? (1) | 2007.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