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177)
소개 (4)
일상 (168)
여행 (5)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07. 9. 14. 02:24

디씨인사이드(DC)야 인터넷 좀 한다는 사람이면 (평가야 어떻든) 다 아는 명물이다.
오늘 DC가 만들어낸 대형 낚시를 목격했다.

내용은, 며칠 전 축구선수 안정환과 상대팀 서포터즈 사이에 있었던 실랑이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다. 결론은 '선수에게 욕한 사람은 그 여자다.' 정도 될텐데, 그 근거가 너무 재미있다. 원문은 지워졌지만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그 글을 퍼날랐다.

DC 해당 게시판에 복사된 글
DC에서의 사건 조사과정을 정리한 글

여기서 DC 사용자들의 자부심과 긍지를 드높인 핵심은 이른바 '성문 분석'이다. 그 부분을 보자. (강조는 내가 했다.)

사람의 성대가 모두 다르듯 사람의 목소리도 전부 다르며.
이를 디지털 주파수로 바꾸면 거의 모두 다른 주파수로 나옵니다.
예외인 경우는 쌍둥이이며 거의 99%는 사람에게 들리는 목소리는 비슷하지만 목소리를 주파수로 바꾸면 다른 음역대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나옵니다.

미국에서 얕게 배웠지만 성문분석학을 배운 학생으로..
2002년 월드컵 이탈리아전의 국민전 영웅이자 선수인 안정환을 좋아하는 팬으로서 이번 관중석난입사건에 대해 조금이라도 오해를 풀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성문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해봤습니다.
(중략)
오차는 1/1000 차입니다
좀 이상하다. 통계학 시간에 배웠던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이 여기 왜 나오지? 그리고 성문(聲紋)은 영어로 voice print가 아닌가?

대충 이쯤되면 낚시질이란 걸 알 수 있다. 그냥 웃고 넘기려다 왜 이런 실수를 했을까 궁금해졌다. '음... 이정도 용어를 구사하려면 역시 네이버 검색을 썼겠지?' 싶어 나는 낚시꾼의 발자국을 쫓아보았다. 아래는 '성문분석'으로 네이버에서 검색한 결과 중 일부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1000이란 수치와, 엉뚱하게 등장하는 PCA가 어디서 온 것인지 알 수 있었다.
재미난 사실은, 전문자료라고 검색된, 네이버 지식시장에서 2,000원에 팔리는 두번째 자료의 국문 초록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DC에 낚시글을 올린 사람은, '성분'을 '성문'으로 쓴 이 오타에 제대로 낚인 셈이다.

역시 인터넷은 즐거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