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pd'에 해당되는 글 2건
2008. 1. 30. 19:08
[일상/잡담]
작년 5월경에 TV를 보고 쓴 글이 있다.
KBS 스페셜 <신기술이 만든 풍경 - '대박과 의혹'>
KBS 제작진들의 문제제기가 타당했고 의혹을 받는 쪽에서는 공정한 실험을 거부했기에 누구의 주장이 옳은지를 추측하는 것은 어렵지 않은 일이었다. 다만 관련된 사람들과 조직들이 사실을 감당할 수 있는지가 문제가 될 뿐.
그리고 오늘 뉴스에 문제의 '나노 이미지센서'와 플래닛82가 다시 나왔다.
'신기술개발 허위 유포' 플래닛82 대표 구속(종합) - 연합뉴스 2008.1.30.
결국 사실이 밝혀지는데 2년이 넘게 걸렸고, 소수는 돈을 벌었을지 모르지만 많은 사람들이 큰 손해를 보았다. 그러나 자연과학이나 공학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라면 어땠을까? 예를 들어, 식민지 근대화론은 광복 후 60여년이 지난 지금도 논쟁 중이다. 우리는 그런 주장들을 검증할 과학적 도구를 아직 갖지 못한 것일까? 아니면, 누가 봐도 분명한 결론이 정치적으로 왜곡되고 있는 것일까?
예전에 <상상의 세계>의 아래 구절을 읽고 나는 이렇게 생각했다(2005년이었다).
"정치 문화에서 지도자들은 <내가 모든 일에 책임을 진다>라고 말함으로써 존경을 받는다. 기술 문화는 다르다. 기술자들은 <안전이 최우선이다>라고 말함으로써 존경을 받는다."
이명박 서울시장이 경부운하를 대선공약으로 내세웠다. 나는 자세한 사업 계획을 찾아서 읽고 지도를 통해 해당 지역의 지형을 살펴보았다. 부디 공정한 비용-편익 계산을 거쳐 정책을 결정했으면 좋겠다. 결론을 미리 내놓고 "모든 것을 내가 책임지겠다"는 식으로 나간다면 그것의 결과는 분명하다.
이명박 서울시장이 경부운하를 대선공약으로 내세웠다. 나는 자세한 사업 계획을 찾아서 읽고 지도를 통해 해당 지역의 지형을 살펴보았다. 부디 공정한 비용-편익 계산을 거쳐 정책을 결정했으면 좋겠다. 결론을 미리 내놓고 "모든 것을 내가 책임지겠다"는 식으로 나간다면 그것의 결과는 분명하다.
그러나 현실은 이렇다.
전문가들이 구체적인 타당성 검토에 들어간다고 해도 과연 그 평가 결과가 얼마나 신빙성을 가질 것이냐는 계속 의문으로 남는다. 과거의 굵직한 국책사업들, 예를 들어 경부고속철이나 새만금 같은 사업의 타당성 평가결과를 보면 그런 의문을 갖는 것이 그리 이상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동안 내가 그와 같은 사업의 평가과정에 간여하면서 알게 된 한 가지 사실이 있다. 그것은 정부가 원하는 사업이면 반드시 경제적 타당성이 있다는 쪽으로 결론이 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다. - 이준구, "걱정이 앞서는 대운하사업"
과학적 사기는 대부분 실패한다. 그러나 정치적 사기는 성공하면 대박, 들통나도 그만이다. 사람(지지자)들의 믿음에 기대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정치라는 것에 과학의 기준을 들이댈 일은 아니지만, 과학이 정치의 기준을 따를 수밖에 없는 현실은 불행하다.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합니다-생각됩니다-생각되어집니다 (0) | 2008.03.09 |
---|---|
dnip.net의 갑작스런 다운에 대책을 고민하면서 (0) | 2008.01.31 |
올해 공휴일은 무슨 요일이지? - 공휴일 요일표 (1) | 2008.01.01 |
투표를 앞두고 고민한다. (0) | 2007.12.18 |
승리의 곰플, 승리의 KMP! (한나라당을 위한 코덱 강의) (5) | 2007.12.17 |
2007. 5. 20. 23:11
[일상/잡담]
오늘 저녁, 무심코 채널을 돌리다 KBS 스페셜을 봤다.
신기술이 만든 풍경 - '대박과 의혹'
몇몇 사람들은 봤겠지만, 내용을 요약하자면...
초고감도 나노 이미지센서(SMPD)라는 것이 있다고 한다. 전자부품연구원(KETI)의 김 모 박사가 2005년쯤에 개발했는데, CCD, CMOS 같은 일반적인 이미지센서보다 감도가 수백배 높아 촛불 하나(1룩스)만 가지고도 선명한 영상을 찍을 수 있어서, 시연회도 몇 번 했고 해외에도 알려졌다.
KETI는 그걸 (주)플래닛82란 회사에 기술료 오십억에 이전했다. 이후 코스닥에서 그 회사는 상한가 행진에 한 때 시가총액 4위까지 했다가... 지금은 불공정거래 수사에 관리종목이던가?
KBS에서 어떻게 제보를 받았는진 몰라도, 의심을 하는 부분은 그 센서가 단지 적외선 차단필터를 달지 않은 보통 이미지센서와 다를 게 없어 보인다는 점이다. 그 회사 쇼룸에서 작동하는 센서 앞에 적외선 필터를 가져다 대니까 갑자기 영상이 안나오더라. 무슨 특허에 의해 '원천기술'이 있다고 주장하는데, 그 특허도 어떤 일본인의 논문을 베낀거 같고...
학계에서는 의심을 하면서도 모른척 했을 것 같다. 괜히 나섰다가 산자부한테 찍히면 과제 못받고 굶어야 하니까.
KBS에서 다시보기는 하루이틀 지나야 가능할 듯하다. 앞부분 반쯤만 봐도 무슨 얘기를 하려는 것인지는 대충 그림이 잡힌다.
제대로 제품이 나와서 팔린다면야 모든 의혹은 해소되겠지만... 이 방송에 대해 방영금지 가처분소송까지 냈던 곳에서 그럴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이제 어떤 사람들(혹은 관계자들)은 멋모르는 PD가 '원천기술' 하나를 조져서 수백조의 국익을 날렸다고 욕하겠지.
어쨌든 연구원들은 인센티브 꽤 받았고, 회사는 코스닥에서 재미 좀 봤을테고, 산자부 공무원들도 연구투자 실적 올렸다고 만족했을 듯하다. 그 회사 주식을 샀던 일반인들도 상투 잡은 사람들 말고는 좀 남기지 않았을까?
줄기세포마냥 화려한 사건은 아니었고 부끄러워서라도 떠들고 다닐 일은 아니지만, 정부-연구원-산업체 일각의 씁쓸한 커넥션을 다시 확인하게 된다. 실패한 기술이 하나도 없다는 우리 나라 기술 진흥 정책과 함께.
이 사건의 주역(?)들이 나온 사진이 있다.
연구원 전 원장, 산자부 전 장관, 그리고 기술을 개발한 연구원.
2년도 채 지나지 않았구나...
신기술이 만든 풍경 - '대박과 의혹'
몇몇 사람들은 봤겠지만, 내용을 요약하자면...
KETI는 그걸 (주)플래닛82란 회사에 기술료 오십억에 이전했다. 이후 코스닥에서 그 회사는 상한가 행진에 한 때 시가총액 4위까지 했다가... 지금은 불공정거래 수사에 관리종목이던가?
KBS에서 어떻게 제보를 받았는진 몰라도, 의심을 하는 부분은 그 센서가 단지 적외선 차단필터를 달지 않은 보통 이미지센서와 다를 게 없어 보인다는 점이다. 그 회사 쇼룸에서 작동하는 센서 앞에 적외선 필터를 가져다 대니까 갑자기 영상이 안나오더라. 무슨 특허에 의해 '원천기술'이 있다고 주장하는데, 그 특허도 어떤 일본인의 논문을 베낀거 같고...
학계에서는 의심을 하면서도 모른척 했을 것 같다. 괜히 나섰다가 산자부한테 찍히면 과제 못받고 굶어야 하니까.
KBS에서 다시보기는 하루이틀 지나야 가능할 듯하다. 앞부분 반쯤만 봐도 무슨 얘기를 하려는 것인지는 대충 그림이 잡힌다.
제대로 제품이 나와서 팔린다면야 모든 의혹은 해소되겠지만... 이 방송에 대해 방영금지 가처분소송까지 냈던 곳에서 그럴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이제 어떤 사람들(혹은 관계자들)은 멋모르는 PD가 '원천기술' 하나를 조져서 수백조의 국익을 날렸다고 욕하겠지.
어쨌든 연구원들은 인센티브 꽤 받았고, 회사는 코스닥에서 재미 좀 봤을테고, 산자부 공무원들도 연구투자 실적 올렸다고 만족했을 듯하다. 그 회사 주식을 샀던 일반인들도 상투 잡은 사람들 말고는 좀 남기지 않았을까?
줄기세포마냥 화려한 사건은 아니었고 부끄러워서라도 떠들고 다닐 일은 아니지만, 정부-연구원-산업체 일각의 씁쓸한 커넥션을 다시 확인하게 된다. 실패한 기술이 하나도 없다는 우리 나라 기술 진흥 정책과 함께.
이 사건의 주역(?)들이 나온 사진이 있다.
연구원 전 원장, 산자부 전 장관, 그리고 기술을 개발한 연구원.
©디지털타임스
2년도 채 지나지 않았구나...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행 선거법의 모순 - "국민은 선거에 영향을 미치지 말아라!" (7) | 2007.06.25 |
---|---|
SEK2007에서의 수확 (0) | 2007.06.21 |
너무 어려운 우리말 맞춤법 (만둣국? 참칫국?) (0) | 2007.05.08 |
이건 무슨 나무의 열매인가요? (2) | 2007.05.07 |
이런 리퍼러를 보니 무섭군요. (0) | 2007.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