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177)
소개 (4)
일상 (168)
여행 (5)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08. 8. 26. 20:04
<악의惡意>는 카페 이벤트 낙첨 기념으로 당장 사서 읽었습니다. 인기작가 히가시노 게이고의 추리소설로 최근에 번역 출간되었습니다.


본격 미스터리의 냄새를 풍기는 도입부와 사건 발생까지는 즐겁게 지나갔는데...
이런, 책 분량의 3/4이 남았는데 범인이 나와버리면 어쩌라구요!
그러나 반전의 작가, 히가시노 게이고인 만큼 이야기는 계속됩니다. 이제 문제는 살인의 동기입니다. <붉은 손가락>에서 만났던 가가 형사의 집요한 추리가 빛날 시간이죠.

*       *       *

책을 덮고 이야기를 되새겨 봅니다. 여러 가지 생각이 들어요.
1. 추리소설에서 제목이 아주 큰 힌트가 될 수 있다는 것. 감히 얘기하건대, 이 살인의 동기는 '악의' 그 자체예요.
2. 물리적 트릭보다 심리적 트릭이 훨씬 어렵다는 것. "기계적인 밀실은 깨뜨릴 수 있어도 심리적인 밀실은 깨뜨리기 어렵다"(문신살인사건)는 말처럼, 다른 트릭은 눈치챌 수 있어도 선입견은 지우기 어려웠어요. 가가 형사와 마찬가지로 저에게도 '그것'은 이 소설 최고의 트릭이었습니다.
3. 이 소설이 다루는 사회적 이슈를 굳이 얘기하자면 '학교폭력'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그 폭력의 근원이 되는 악의('맘에 안든다')는 대체 무엇이길래 해결책을 찾기가 이렇게 어려운 걸까요?

솔 직히 얘기하자면 후반부의 탐문 케이스 1~10은 좀 지루했어요. 물론 독자는 그 중간 어디쯤에서 이른바 '반전'을 눈치채고 놀라게 되겠지만, 여러 인물들의 얘기가 산만했기 때문인지 결말도 다른 작품들에 비해서는 충격이 약한 편이었구요.

그런데 생각해보니 예전에 읽은 <용의자 X의 헌신>이 비슷한 구성이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책 띠지에도 "<용의자 X의 헌신>을 능가하는 감동과 반전"이라고 써 놓았군요. 그래서 한 번 비교해 보았지요.

 악의 (1996)
용의자 X의 헌신 (2005)
탐정가가 형사
유가와 교수
범인초반에 밝혀짐
처음부터 밝힘
트릭살해 동기 조작
알리바이 조작
트릭의 도구
범인의 수기
또다른 시체
고정관념가해자와 피해자의 성품
가해자-피해자의 구도
반전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
가해자-피해자의 새 구도
감동 코드
선의
헌신과 희생

대충 만든 표라 좀 엉성하지만, 어떤가요? 그럴듯하지 않나요?

전모가 이미 드러난 것 같은 사건을 두고 범인이 쳐 놓은 이중삼중의 덫을 풀어내는 형사와 탐정,
그 반대편에서 범행 자체가 아니라 더 중요한 무엇인가를 숨기려는 범인,
그리고 작가의 치밀한 트릭이 만들어낸 고정관념을 버리지 못하다가 끝에서야 의외의 진실(반전)에 놀라는 독자.

차이점으로는 악의적인 트릭과 헌신(희생)적인 트릭의 강한 대조를 발견할 수 있어요.
<악의>에서는 트릭과 감동 코드(이건 좀 좋은 표현이 아니지만요)가 서로 대척점에 자리잡고 있어서 그 감동이 덜했던 반면, <용의자 X의 헌신>에서는 그 둘이 한 인물 속에 통합된 까닭에 가슴 찡한 느낌이 더 강했던 것이라고 저는 생각해요.

글 제목을 '대칭성'이라고 달았군요. 결론이라면, 일단 저는 둘 다 아주 재미있게 읽었다는 점을 미리 얘기해 두고요.
형 식적으로 두 작품은 공통의 구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차이를 보이는 부분도 실은 거울에 비친 모습처럼 대칭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얘기하고 싶어요. 약간의 불편한 점이 있는 <악의>란 제품을 업그레이드한 것이 <용의자 X의 헌신>이라고 할 수도 있을까요? (그러고 보면 이런 작품이 몇몇 있다고 하던데...)

어쨌든 히가시노 게이고의 인기 비결을 조금은 알 것 같아요.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 그리고 독자에 대한 철저한 서비스 정신. 작가만 보고 믿고 살 수 있는 책은 정말 드물거든요.

[albook|small|left|8972754196|height=150][albook|small|left|8972753696|height=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