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에 해당되는 글 2건
2007. 12. 17. 14:49
[일상/잡담]
어제 "자신이 BBK를 설립했다"고 이명박이 말하는 동영상이 공개되었다.
내용 자체야 새삼스러울 것도 없고...
그런데 이 동영상을 갖고 있던 사람들은 거액을 대가로 정동영, 이회창 측에 이어 한나라당과 접촉하다가 경찰에 잡혔다. 어, 한나라당은 이 동영상이 뭔지 몰랐던걸까? 어떤 사람이 이런 추측을 내놓았다.
상당히 일리가 있는 지적이다. 그들과 접촉한 한나라당 당직자가 CD에 담긴 동영상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고 이 동영상을 일종의 '뻥카'라고 여겼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렇지 않고서야 이런 자충수를 둘 리가. (아니면 경찰 입막음 쯤은 별 일 아닐거라 생각했을지도.)
그런데 대권을 눈 앞에 둔 이명박과 한나라당을 휘청거리게 한 이 '코덱'이란 건 대체 뭘까? 한나라당을 위해, 이제는 초등학생도 아는 코덱에 대하여 짤막하게 적어본다.
동영상이 디지털 매체에 저장되는 방식은 한 가지만 있는 것이 아니다. 더 작은 용량에 더 높은 품질의 영상과 음성을 압축해서 저장하기 위해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방식(이른바 '동영상 포맷')이 계속해서 개발된다. 우리가 흔히 보는 DVD에는 MPEG2라는 포맷이 사용되며, 인터넷으로 배포되는 불법 영화파일들은 대개 MPEG4 포맷의 변형인 DivX 포맷을 따른다. 마이크로소프트는 WMV, 애플은 MOV라는 자체 포맷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영상과 음성 각각에 대해서도 세분하면 수십가지 이상의 포맷이 존재한다. 이런 포맷에 맞게 동영상을 만들고 또 재생하는 기계 또는 소프트웨어를 '코덱codec'이라고 부른다. 더 자세한 내용은 [wp.en]video codec[/wp]을 참고.
그러나 야동 한 편을 보기 위해 이런 걸 다 공부할 수는 없다! 어쨌든 동영상을 제대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그것에 맞는 코덱(들)이 필요하다는 얘긴데,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는, '통합 코덱'이라 불리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코덱의 묶음을 구해서 컴퓨터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Windows에 기본으로 내장된 미디어플레이어에서도 대부분의 동영상을 즐길 수 있다. 여러 가지 통합 코덱을 비롯한 각종 코덱들은 Free-Codecs.com에서 구할 수 있다.
두번째는, 일반적인 코덱을 내장하고 있는 동영상 플레이어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통합 코덱에 비해 이 방법은 간단하고, 플레이어의 다양한 부가 기능(느리게/빨리 보기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이런 동영상 플레이어의 대표적인 제품 두 가지가 우리 나라에서 개발된 곰플레이어(곰플)와 KMPlayer(KMP)이다. 나는 인터넷 방송 컨텐츠가 강한 곰플로 e-스포츠를 즐기고, CSI 같은 드라마나 영화를 감상할 때는 KMP를 쓴다.
개인적으로, 두번째 방법을 더 추천한다. 그리고 PC에 두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는 반드시 설치하기를 권장한다. 한나라당 노트북에도 이들이 설치되어 있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박영선 BBK 동영상'을 본 모든 사람들을 선거법 위반으로 고발하는 한나라당과 이명박에게 그건 너무 무리한 기대였을까?
내용 자체야 새삼스러울 것도 없고...
그런데 이 동영상을 갖고 있던 사람들은 거액을 대가로 정동영, 이회창 측에 이어 한나라당과 접촉하다가 경찰에 잡혔다. 어, 한나라당은 이 동영상이 뭔지 몰랐던걸까? 어떤 사람이 이런 추측을 내놓았다.
상당히 일리가 있는 지적이다. 그들과 접촉한 한나라당 당직자가 CD에 담긴 동영상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고 이 동영상을 일종의 '뻥카'라고 여겼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렇지 않고서야 이런 자충수를 둘 리가. (아니면 경찰 입막음 쯤은 별 일 아닐거라 생각했을지도.)
그런데 대권을 눈 앞에 둔 이명박과 한나라당을 휘청거리게 한 이 '코덱'이란 건 대체 뭘까? 한나라당을 위해, 이제는 초등학생도 아는 코덱에 대하여 짤막하게 적어본다.
동영상이 디지털 매체에 저장되는 방식은 한 가지만 있는 것이 아니다. 더 작은 용량에 더 높은 품질의 영상과 음성을 압축해서 저장하기 위해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방식(이른바 '동영상 포맷')이 계속해서 개발된다. 우리가 흔히 보는 DVD에는 MPEG2라는 포맷이 사용되며, 인터넷으로 배포되는 불법 영화파일들은 대개 MPEG4 포맷의 변형인 DivX 포맷을 따른다. 마이크로소프트는 WMV, 애플은 MOV라는 자체 포맷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영상과 음성 각각에 대해서도 세분하면 수십가지 이상의 포맷이 존재한다. 이런 포맷에 맞게 동영상을 만들고 또 재생하는 기계 또는 소프트웨어를 '코덱codec'이라고 부른다. 더 자세한 내용은 [wp.en]video codec[/wp]을 참고.
그러나 야동 한 편을 보기 위해 이런 걸 다 공부할 수는 없다! 어쨌든 동영상을 제대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그것에 맞는 코덱(들)이 필요하다는 얘긴데,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는, '통합 코덱'이라 불리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코덱의 묶음을 구해서 컴퓨터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Windows에 기본으로 내장된 미디어플레이어에서도 대부분의 동영상을 즐길 수 있다. 여러 가지 통합 코덱을 비롯한 각종 코덱들은 Free-Codecs.com에서 구할 수 있다.
두번째는, 일반적인 코덱을 내장하고 있는 동영상 플레이어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통합 코덱에 비해 이 방법은 간단하고, 플레이어의 다양한 부가 기능(느리게/빨리 보기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이런 동영상 플레이어의 대표적인 제품 두 가지가 우리 나라에서 개발된 곰플레이어(곰플)와 KMPlayer(KMP)이다. 나는 인터넷 방송 컨텐츠가 강한 곰플로 e-스포츠를 즐기고, CSI 같은 드라마나 영화를 감상할 때는 KMP를 쓴다.
개인적으로, 두번째 방법을 더 추천한다. 그리고 PC에 두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는 반드시 설치하기를 권장한다. 한나라당 노트북에도 이들이 설치되어 있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박영선 BBK 동영상'을 본 모든 사람들을 선거법 위반으로 고발하는 한나라당과 이명박에게 그건 너무 무리한 기대였을까?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해 공휴일은 무슨 요일이지? - 공휴일 요일표 (1) | 2008.01.01 |
---|---|
투표를 앞두고 고민한다. (0) | 2007.12.18 |
'위대한 국민'의 자격 (2) | 2007.12.05 |
네이버 뉴스에서 확인하는 정경유착 (2) | 2007.11.14 |
리퍼러 목록에서 느끼는 불안감 (1) | 2007.11.14 |
2007. 3. 21. 15:11
[일상/독서]
시간은 기억을 통해 인식되고, 기억은 시간 속에 존재한다.
[albook|small|right|8990048524|]나이 들수록 왜 시간은 빨리 흐르는가 Why Life Speeds Up As You Get Older, 다우베 드라이스마, 2001
10대, 20대에는 일년이 참 길게 느껴진다. 반면 나이가 들수록 지난 한 해가 어떻게 그리 금방 지나가버렸는지 놀랄 때가 많다. 이 책은 그 의문에 대답하기 위해 자전적 기억(autobiographical memory)의 본질을 심리학의 역사 속에서 탐구한다.
수많은 사건들이 일어난 젊은 시절은 떠올릴 기억이 별로 없는 노년보다 느리게 느껴진다. (회상 효과) 그리고 젊은이의 생체시계는 대개 노인의 생체시계보다 빨리 움직인다. (생리적 시계) 이 두가지 이론은 그 의문에 대한 불완전한 답이다. 그러나 이 책은 시간과 기억에 대한 그 이상의 수많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망각'이란 제목의 장에서는 기억상실증의 진행을 묘사하면서 어떤 할머니가 이미 세상을 떠난 남편에게 쓴 편지가 소개된다. 1분 전에 자기가 쓴 문장도 기억하지 못해 같은 말이 반복되는, 사실인지 모를 과거의 조각들만이 나열된.
작년 가을에 발표차 폴란드에 가는 길에 이 책을 사서 푹 빠져 읽었다. 그리고 오늘, 다른 한 권의 소설을 다 읽은 다음, 책장에서 다시 꺼내 펼친다. 이런 대목이 있다: 노인성 치매 환자가 기억을 잃어버릴 때는, 가장 최근의 기억이 가장 먼저 사라지고 가장 오래된 기억이 가장 마지막에 사라진다...
[albook|small|right|895274246X|]스몰 월드 Small World, 마틴 수터, 1997
치매: 정상적이던 지능이 대뇌의 질환 때문에 저하된 것
알츠하이머 병: 노인성 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 대뇌의 신경세포가 변성, 사멸하는 질환
이 소설은 알츠하이머 병에 걸린 한 남자와 그를 둘러싼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그리고 그의 세상이 변해온, 그리고 변해가는 과정을 다룬 일종의 추리소설이다. 주인공은 알츠하이머 병의 진행으로 기억을 잃어가며 일상적인 행동마저 어려워진다. 그럴수록 그의 어린 시절 기억은 혼란스러운 형태로 드러나며 의문은 깊어진다.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일까? 아이로 돌아간 그가 무서워하는 것은 무엇일까? 병의 진행을 막으려는 노력은 성공할 수 있을까?
비록 추리물로서의 긴장감이 덜하다 하더라도 이 이야기는 살인사건이 아닌 한 사람의 기억을 재구성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색다른 즐거움과 긴장을 준다. 무엇보다 알츠하이머 병에 걸린 주인공의 행동은 너무나 현실감 있게 묘사되어 있어 독자의 안타까움을 더한다.
나는 이 책을 몇 달 전에 인터넷 서점에서 '덤으로' 받았다. 2005년에 번역되어 나왔으나 그리 잘 팔리지는 않았던 모양이다. 그래서 최근까지 손도 대지 않다가 며칠 전에 펴 들었다. 잠자리에서 읽을 책이 다 떨어진 까닭이다. 그런데 내가 언제나 마음에 두고 있는 생각의 실마리 - 시간과 기억 - 가 이런 식으로 이야기가 되어 엮일 줄이야. 덕분에 '나이가 들수록...'까지 보태어 이렇게 감상을 적는다.
덧붙여 잡담...
다우베 드라이스마의 책에는 기억의 은유로 활동사진(영화)을 사용하여, '기억은 왜 거꾸로 돌리기가 안 되는가'하는 의문을 탐구하는 내용이 있다. 우리의 기억은 과거 어디로든 자유롭게 오갈 수 있지만, 제대로 보려면 반드시 시간 순서대로 돌려야 한다는 것. 흥미로운 사실은 요즘의 디지털 동영상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재생된다는 점이다.
디지털 동영상은 프레임frame이라 불리는 연속되는 장면들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용량을 줄이기 위해 데이터 압축이 필요한데, 각각의 프레임은 하나의 JPEG 그림 파일처럼 압축해서 저장할 수 있다. 거기에 더해 이어지는 각 프레임들 사이에서도 이른바 시간적 압축이 가능한데, 그림으로 보자.
이렇게 각 프레임이 그대로 저장될 수도 있지만,
두번째 그림처럼 일정한 간격의 완전한 프레임 사이에 영상이 변하는 부분만을 저장해도 재생이 가능할 것이다. 이 때, 완전한 프레임(1,5)을 키key 프레임, 그 중간의 부분적인 영상만을 가진 프레임(2,3,4)을 델타delta 프레임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렇게 시간적 압축이 된 동영상에서 재생은 키 프레임에서 시작하여 시간의 방향으로만 가능하다. (잘라서 붙이는 등의 편집 작업도 키 프레임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어째 앞서 얘기한 '거꾸로 돌릴 수 없는' 기억과 비슷하지 않은가? 키 프레임과 뒤로 이어지는 델타 프레임들의 한 단위가 기억의 한 토막에 해당한다.
동영상 압축 기술이 인간의 기억 방식을 본떴다는 이 주장은 검증하기가 곤란할 것 같다.
[albook|small|right|8990048524|]나이 들수록 왜 시간은 빨리 흐르는가 Why Life Speeds Up As You Get Older, 다우베 드라이스마, 2001
10대, 20대에는 일년이 참 길게 느껴진다. 반면 나이가 들수록 지난 한 해가 어떻게 그리 금방 지나가버렸는지 놀랄 때가 많다. 이 책은 그 의문에 대답하기 위해 자전적 기억(autobiographical memory)의 본질을 심리학의 역사 속에서 탐구한다.
수많은 사건들이 일어난 젊은 시절은 떠올릴 기억이 별로 없는 노년보다 느리게 느껴진다. (회상 효과) 그리고 젊은이의 생체시계는 대개 노인의 생체시계보다 빨리 움직인다. (생리적 시계) 이 두가지 이론은 그 의문에 대한 불완전한 답이다. 그러나 이 책은 시간과 기억에 대한 그 이상의 수많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망각'이란 제목의 장에서는 기억상실증의 진행을 묘사하면서 어떤 할머니가 이미 세상을 떠난 남편에게 쓴 편지가 소개된다. 1분 전에 자기가 쓴 문장도 기억하지 못해 같은 말이 반복되는, 사실인지 모를 과거의 조각들만이 나열된.
작년 가을에 발표차 폴란드에 가는 길에 이 책을 사서 푹 빠져 읽었다. 그리고 오늘, 다른 한 권의 소설을 다 읽은 다음, 책장에서 다시 꺼내 펼친다. 이런 대목이 있다: 노인성 치매 환자가 기억을 잃어버릴 때는, 가장 최근의 기억이 가장 먼저 사라지고 가장 오래된 기억이 가장 마지막에 사라진다...
[albook|small|right|895274246X|]스몰 월드 Small World, 마틴 수터, 1997
치매: 정상적이던 지능이 대뇌의 질환 때문에 저하된 것
알츠하이머 병: 노인성 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 대뇌의 신경세포가 변성, 사멸하는 질환
이 소설은 알츠하이머 병에 걸린 한 남자와 그를 둘러싼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그리고 그의 세상이 변해온, 그리고 변해가는 과정을 다룬 일종의 추리소설이다. 주인공은 알츠하이머 병의 진행으로 기억을 잃어가며 일상적인 행동마저 어려워진다. 그럴수록 그의 어린 시절 기억은 혼란스러운 형태로 드러나며 의문은 깊어진다.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일까? 아이로 돌아간 그가 무서워하는 것은 무엇일까? 병의 진행을 막으려는 노력은 성공할 수 있을까?
비록 추리물로서의 긴장감이 덜하다 하더라도 이 이야기는 살인사건이 아닌 한 사람의 기억을 재구성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색다른 즐거움과 긴장을 준다. 무엇보다 알츠하이머 병에 걸린 주인공의 행동은 너무나 현실감 있게 묘사되어 있어 독자의 안타까움을 더한다.
나는 이 책을 몇 달 전에 인터넷 서점에서 '덤으로' 받았다. 2005년에 번역되어 나왔으나 그리 잘 팔리지는 않았던 모양이다. 그래서 최근까지 손도 대지 않다가 며칠 전에 펴 들었다. 잠자리에서 읽을 책이 다 떨어진 까닭이다. 그런데 내가 언제나 마음에 두고 있는 생각의 실마리 - 시간과 기억 - 가 이런 식으로 이야기가 되어 엮일 줄이야. 덕분에 '나이가 들수록...'까지 보태어 이렇게 감상을 적는다.
덧붙여 잡담...
다우베 드라이스마의 책에는 기억의 은유로 활동사진(영화)을 사용하여, '기억은 왜 거꾸로 돌리기가 안 되는가'하는 의문을 탐구하는 내용이 있다. 우리의 기억은 과거 어디로든 자유롭게 오갈 수 있지만, 제대로 보려면 반드시 시간 순서대로 돌려야 한다는 것. 흥미로운 사실은 요즘의 디지털 동영상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재생된다는 점이다.
디지털 동영상은 프레임frame이라 불리는 연속되는 장면들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용량을 줄이기 위해 데이터 압축이 필요한데, 각각의 프레임은 하나의 JPEG 그림 파일처럼 압축해서 저장할 수 있다. 거기에 더해 이어지는 각 프레임들 사이에서도 이른바 시간적 압축이 가능한데, 그림으로 보자.
동영상 압축 기술이 인간의 기억 방식을 본떴다는 이 주장은 검증하기가 곤란할 것 같다.
'일상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트 보네거트의 사망을 슬퍼하며... (0) | 2007.04.18 |
---|---|
일본 고전 추리소설의 재미 - <문신살인사건>과 나루토 (1) | 2007.04.01 |
<시티즌 빈스>를 읽고 - 투표를 할 수 있다는 것 (0) | 2007.03.13 |
반전(反轉)만을 기다리는 독서는 이제 그만... <살육에 이르는 병> (3) | 2007.03.12 |
재미있는, 그러나 읽기 어려운 소설 - 미국의 송어낚시, 우아하고 감상적인 일본야구 (1) | 2007.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