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에 해당되는 글 2건
2009. 5. 23. 05:52
[일상/잡담]
이 글은 지난 주말, 권정생 선생님이 사셨던 안동에 다녀와 남긴 사진들의 후기이다.
사람이 쓴 글은 얼마만큼 그 사람을 드러내고 있을까?
아름답고 감동적인 글을 읽으면 그 글을 쓴 작가에 대한 존경심이 생긴다. 그 사람의 마음 속에 담긴, 좋은 글로 넘쳐나는 그 무엇을 동경해서다. 훌륭한 추리소설을 읽고 나면 작가의 머리 속이 궁금해지는 것도 마찬가지다. 이런 기대는 대개 들어맞는 편인데, 그건 글과 사람, 두 가지 모두에서 가치를 갖는 작가들이 시장에서 인기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겠다. 그러나 평범한 독자가 알 수 있는 작가들의 사람 됨됨이란 결국 매체를 통한 것이고 왜곡을 거칠 수밖에 없는 법이니 속 편하게 글을 텍스트 그 자체로 대하는 자세도 일리가 있다. 책으로 나온 글은 적어도 사람만큼 완전히 뒤바뀌지는 않으니까.
알 수 없는 것이 사람의 마음이고, 더 알 수 없는 것은 그것의 변화다. 작가에게나 독자에게나. 사람이 글의 후광이 되는 것은 출판사의 마케팅으로 많이 익숙하지만 사람이 잊혀지면 글도 수명을 다한다. 사람에 대한 실망으로 글이 달리 보이는 일도 가끔 겪는다. "이완용이 글씨 하나는 잘 썼다."고 감히 얘기하는 사람은 드물다. 요컨대 글은, 예술은 그 사람 삶의 부분으로 의미가 있다는 것이 상식이다.
내가 <몽실언니>와 <강아지똥>을 감명깊게 읽은 것은 권선생님의 삶을 알기 전이다. 한참 뒤에야 나는 그분의 삶에 대해 알게 되었다. '역시 그랬구나'하고 고개를 끄덕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만약 그렇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사랑과 희생의 메시지는 작가가 고결한 자세로 세상을 뜰 때까지 보류되어야 한다면, 작가 뿐 아니라 독자도 피곤하지 않을까. 그런 점에서 권정생 선생님은 후배 동화작가들에게 너무 큰 짐을 지우셨다.
사람은 거짓말을 할 수 있다. 스스로를 속이며 하는 거짓말은 그 자신도 거짓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거짓말을 구별해낼 자신이 없다. 나는 글에서 그 사람의 진심을 읽을 자신이 없다. 그래서 작가의 삶으로 눈길이 간다. 그러나 그것도 남의 말이고 다른 이의 시선일 수 있다. 그리고 동시대의 사람에 대해 시간이란 담금질은 기다리기 어려운 과정이다.
당신에게는 결코 다행스런 일이 아니었겠지만 일직교회 목사님의 말씀처럼 권정생 선생님의 삶은 시험의 연속이었다. 병과 가난, 외로움. 그리고 삶의 후반에 찾아온 명예와 돈의 힘까지. (나는 굳이 '유혹'이라고 말하지 않겠다.) 어쩌면 그것은 예수님이 받았던 시험과도 비슷하다. 어느 쪽이든 가능한 선택이지만 멀리 뒤돌아보는 이에게 답은 하나뿐인 그런 문제가 아니었을까. 그래서 그분의 글은 스스로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나는 거짓말을 할 수 없었던 작가를 만난 것이다.
"하나님은 쓸데없는 물건은 하나도 만들지 않으셨어." - <강아지똥>
그리고 "오물덩이처럼 딩굴면서"에 나오는 당신의 친구들, 기훈이, 태호, 갑덕이, 옥자, 성태, 청관이, 성난이...... 그 믿음은 작가의 진심일 수 밖에 없다.
사람이 쓴 글은 얼마만큼 그 사람을 드러내고 있을까?
아름답고 감동적인 글을 읽으면 그 글을 쓴 작가에 대한 존경심이 생긴다. 그 사람의 마음 속에 담긴, 좋은 글로 넘쳐나는 그 무엇을 동경해서다. 훌륭한 추리소설을 읽고 나면 작가의 머리 속이 궁금해지는 것도 마찬가지다. 이런 기대는 대개 들어맞는 편인데, 그건 글과 사람, 두 가지 모두에서 가치를 갖는 작가들이 시장에서 인기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겠다. 그러나 평범한 독자가 알 수 있는 작가들의 사람 됨됨이란 결국 매체를 통한 것이고 왜곡을 거칠 수밖에 없는 법이니 속 편하게 글을 텍스트 그 자체로 대하는 자세도 일리가 있다. 책으로 나온 글은 적어도 사람만큼 완전히 뒤바뀌지는 않으니까.
알 수 없는 것이 사람의 마음이고, 더 알 수 없는 것은 그것의 변화다. 작가에게나 독자에게나. 사람이 글의 후광이 되는 것은 출판사의 마케팅으로 많이 익숙하지만 사람이 잊혀지면 글도 수명을 다한다. 사람에 대한 실망으로 글이 달리 보이는 일도 가끔 겪는다. "이완용이 글씨 하나는 잘 썼다."고 감히 얘기하는 사람은 드물다. 요컨대 글은, 예술은 그 사람 삶의 부분으로 의미가 있다는 것이 상식이다.
내가 <몽실언니>와 <강아지똥>을 감명깊게 읽은 것은 권선생님의 삶을 알기 전이다. 한참 뒤에야 나는 그분의 삶에 대해 알게 되었다. '역시 그랬구나'하고 고개를 끄덕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만약 그렇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사랑과 희생의 메시지는 작가가 고결한 자세로 세상을 뜰 때까지 보류되어야 한다면, 작가 뿐 아니라 독자도 피곤하지 않을까. 그런 점에서 권정생 선생님은 후배 동화작가들에게 너무 큰 짐을 지우셨다.
사람은 거짓말을 할 수 있다. 스스로를 속이며 하는 거짓말은 그 자신도 거짓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거짓말을 구별해낼 자신이 없다. 나는 글에서 그 사람의 진심을 읽을 자신이 없다. 그래서 작가의 삶으로 눈길이 간다. 그러나 그것도 남의 말이고 다른 이의 시선일 수 있다. 그리고 동시대의 사람에 대해 시간이란 담금질은 기다리기 어려운 과정이다.
당신에게는 결코 다행스런 일이 아니었겠지만 일직교회 목사님의 말씀처럼 권정생 선생님의 삶은 시험의 연속이었다. 병과 가난, 외로움. 그리고 삶의 후반에 찾아온 명예와 돈의 힘까지. (나는 굳이 '유혹'이라고 말하지 않겠다.) 어쩌면 그것은 예수님이 받았던 시험과도 비슷하다. 어느 쪽이든 가능한 선택이지만 멀리 뒤돌아보는 이에게 답은 하나뿐인 그런 문제가 아니었을까. 그래서 그분의 글은 스스로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나는 거짓말을 할 수 없었던 작가를 만난 것이다.
"하나님은 쓸데없는 물건은 하나도 만들지 않으셨어." - <강아지똥>
그리고 "오물덩이처럼 딩굴면서"에 나오는 당신의 친구들, 기훈이, 태호, 갑덕이, 옥자, 성태, 청관이, 성난이...... 그 믿음은 작가의 진심일 수 밖에 없다.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프라인과 온라인 (0) | 2009.06.03 |
---|---|
한 사람이 남기는 부탁 (0) | 2009.05.23 |
일한병합, 한일합방, 경술국치 (0) | 2009.02.12 |
잡 셰어링(job sharing), 임금 기금설의 부활 (1) | 2009.01.16 |
2008년 12월 31일 밤 (0) | 2008.12.31 |
2008. 2. 27. 13:24
[일상/메모]
1.
[분수대] 거짓말하는 능력 - 중앙일보, 2008.2.26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고 있는 이명박 정부의 국무위원 후보자들이 너무 '정직'해서 사태를 악화시키는 듯하다. '유방암이 아니라는 판정을 받은 기념'으로 남편이 오피스텔을 선물로 사주고, '자연을 사랑해서' 절대농지를 구입했다는 해명이 그렇다. "감기가 아니라는 판정을 받은 기념으로 새 차를 사주지는 않았나" "자연을 사랑하면 오지의 숲을 구입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비난이 들끓고 있다. 불리한 결과를 뻔히 예측할 수 있는 데 굳이 그런 해명을 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게 '사실'이어서 그대로 밝혔다는 해석이 나온다. 그렇다면 이런 말을 해주고 싶다. 공직자는 정직해야 하지만 때론 거짓말을 하는 능력도 필요하다. 정직이 불필요한 상처를 국민에게 주는 경우에는.
2.
[이훈범시시각각] 총리감이 없다구요? - 중앙일보, 2008.1.21
그래서 하는 얘긴데 이참에 국민적 대사면을 하는 건 어떨지. 전문적 투기나 상습적 탈세처럼 파렴치한 범죄가 아니라 그저 한 순간 욕심에서 빚어진 어지간한 오점들은 눈 딱 감고 한 번 용서해 주면 어떨지. 평생 정직하게 살아온 많은 사람은 억울할 터지만 본래 용서는 정직한 사람 몫 아닌가. 이참에 용서하고 선을 긋는 것은 어떨지. 대통령 당선인에게 그랬듯 과거의 허물은 덮어두고 인재들에게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주면 어떨지. 그들 손에 걸레를 들려줘 세상을 투명하게 닦을 임무를 맡기는 건 어떨지. 그러면서 자신의 때까지 씻을 수 있게 하면 어떨지. 그렇게 함으로써 먼지가 켜켜이 쌓인 과거와 단절하고 정직한 사람이 손해보지 않는 맑은 사회를 함께 만들어가 보는 건 어떨는지.
3.
"때로는 진실보다 국익이 더 중요하다."
- 홍혜걸 중앙일보 기자, 황우석 관련 MBC 100분토론(2005.11.24)에서
4.
우리가 거짓말을 미워하는 이유는, 그것이 정직과 진실을 가장하여 거짓말쟁이의 배를 불린다는 진리를 경험과 역사를 통해 깨우쳤기 때문이고, '때때로 거짓말'이 더 나쁜 이유는, 그것이 '내게 이익이 될 때는 거짓말'을 에둘러 말하기 때문이다.
자신의 정직이 국민들에게 상처까지 줄 인물들을 공직자로 모셔야만 하는 건지, 정직한 사람들은 용서하며 사는 것이 팔자인지, 진실보다 더 중요한 국익을 지켜서 경제를 살리면 나라가 선진화 되는 건지... 나는 모르겠다. 그러나 때론 거짓말하는 능력까지 갖춘 정치인과 공직자는 정말로 싫다.
'일상 >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통과 대중 조작 (0) | 2008.05.29 |
---|---|
땅투기 안 한 사람이 바보 아니었어요? (19) | 2008.03.07 |
경제학자가 보는 시장, 경제, 그리고 지식인 (0) | 2008.01.02 |
'기업하기 좋은 나라', '잃어버린 10년' (0) | 2007.12.17 |
'진정한 양심'을 구별하는 네 가지 기준 (0) | 2007.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