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ports'에 해당되는 글 1건
2007. 3. 19. 22:51
[일상/잡담]
선수단(팀)을 운영하는 회사들을 중심으로 한 협회(KeSPA)는 프로리그(팀별 대항 리그) 중계권을 팔기 위해 방송사(온게임넷, MBC게임)와 협상하다 안되자 IEG라는 스포츠 마케팅 회사에 중계권을 팔고, 협회=IEG가 방송사와 다시 중계권 재판매 협상을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지난 금요일(3/16), MBC게임의 개인리그 예선 중에 협상 결렬을 전해 들은 다수의 팀들이 경기를 거부하고 퇴장했다. 이 행동은 방송사에 대한 압박이 분명했다.
사실 이 문제는 중계권 수익만이 아닌, e-sports의 전반적인 운영에 관련된 대립하는 두 입장의 충돌이다. 협회와 선수단이 주도하는 팀, 프로리그 중심의 운영 vs 방송국이 주도하는 개인리그 중심의 운영. 그런데 지금까지 몇 년의 경험에서 볼 때, 프로리그보다는 개인리그가 더 높은 흥행과 인기, 그리고 경기 수준을 보여줬다는 점이 중요하다. 양 게임방송사의 간판이랄 수 있는 개인리그를 통해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 마재윤 등의 스타가 탄생했고 e-sports의 위상도 나름 높아졌다. 그 결과 시청자와 팬들에게 개인리그 없는 e-sports는 앙꼬없는 찐빵이 되어버렸다.
지금까지 e-sports는 앞서 언급한 두 가지 입장의 중간쯤에서 유지되어 왔다. 지난해의 경우 토일월 3일은 프로리그, 화목은 MBC게임의 MSL, 수금은 온게임넷의 스타리그 - 대충 이런 식으로. 협회=선수단은 프로리그의 비중을 더 높이길 원하지만 채널을 쥐고 있는 방송사와의 협의가 필수적이다. 개인리그에 중점을 두고싶은 방송사 입장에서도 많은 프로게이머들을 육성하고 그들의 생계를 책임져주는 선수단의 요구를 무시할 수 없다.
그렇다면 나의 입장은? 시청자 또는 팬의 주장은 어떠해야 할까?
특정 선수(단)에 대한 팬이라면 그쪽의 입장을 충실히 따르면 된다. 지금 상황을 보면 거의 협회=선수단(=선수?), 이런 식으로 이해관계가 일치한다.
©Fomos Corp.
협회가 하는 일이 마음에는 안들지만 이해는 할 수 있다. 프로리그도 꼭 필요하다. 중계권이란 것이 현실적으로 돈이 되면 협상의 줄다리기는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지금의 개인 리그를 축소하고 (혹자는 양대 개인리그 중 하나를 없애려는 협회의 음모를 이야기한다.) 모기업의 안정적인 홍보 창구를 유지시키는 프로리그의 확대라면 나는 더이상 e-sports에 관심이 없다. 돈을 받는 '프로' 스포츠라면 시청자가 원하는 최고의 경기를 보여줄 의무가 있지 않은가? 채널이 케이블 방송사든 인터넷 곰TV든 무슨 상관이랴. 시청자들은 e-sports란 이름 이전부터 이어져온 개인리그의 감동을 포기하고 싶지 않다. 협회와 선수단은 프로리그 중계권 협상을 개인리그 참가와 연계하지 말라. 시청자들이 원하는 '프로게이머'는 최고의 자리를 향해 노력하는 선수들이다.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딸 바란이의 만행, 혹은 인간관계 회복 프로젝트 (1) | 2007.04.12 |
---|---|
다음 검색, 낚시질의 복수냐? (0) | 2007.04.02 |
나도 모르게 인터넷에서 낚시질을... (2) | 2007.02.27 |
자살 방지 대책 - 생명이 돈보다 소중합니까? (0) | 2007.02.20 |
지도 짜깁기 - MSR MapCruncher for Virtual Earth (0) | 2007.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