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슐러 K. 르귄'에 해당되는 글 1건
2008. 5. 28. 02:08
[일상/독서]
[albook|small|right|8952737911|width=100]며칠째 밤마다 인터넷으로 현장 소식을 보느라 잠을 설친다.
오늘은 눈을 붙이기 전에 소설책을 꺼내들었다.
어슐러 K. 르귄, <바람의 열두 방향>
뒤에서 두번째 실린 단편이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이다.*
이 이야기는 읽을 때마다 강한 인상을 남긴다.
축제와 온갖 즐거움으로 가득한 행복의 도시 오멜라스**. 그 도시의 지하실에 갇혀 있는 한 아이. 모든 사람들이 그 아이의 존재를 안다.
오멜라스의 행복과 아름다움을 이 아이와 맞바꾸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아이를 본 어떤 이들은 집으로 돌아가지 않고 도시를 떠난다.
어디로 가는 걸까? 상상하기 어렵고 존재하는지조차 모르는 곳이다.
조금 현실적으로, 조금 비관적으로 생각해 보자.
싸고 맛있는 미국산 소고기를 먹고 싶은, 팔고 싶은 사람도 있다.
일몰 후 불법 집회는 공권력으로 엄중 대응해야 한다는 사람도 있다.
......
한나라당이 과반을 차지한 총선이 치뤄진 지 두 달도 지나지 않았다. 청계광장에 수 만명이 모여도 대운하와 재개발을 지지했던 국민들의 선택은 다음 투표까지 변하지 않는다. 한나라당을 지지했던 사람들이 촛불을 들었을 거라고 나는 생각하지 않는다. 정부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는 몇 배의 경찰력과 보수 언론의 왜곡("좌파 세력의 반정부 폭력 시위...")으로 간단히 덮을 수 있다.
그러나 사람들은 촛불을 들고 모인다.
어떤 집에는 현수막이 내걸리고,
어떤 동호회는 신문에 광고를 낸다.
어떤 카메라는 현장을 중계하고,
어떤 시민들은 웃으면서 당당히 연행된다.
배후 세력을 아무리 찾아본들 헛수고리라. 가야할 길을 아는 사람들은 혼자서 가는 법이니까.
주)
* 이 책에 실린 마지막 단편의 제목은 여기서 얘기하지 말자. 작가 왈, "이 이야기는 오멜라스를 떠난 사람들 가운데 한 사람에 관한 이야기다."
** 새로운 SF 전문 출판 브랜드의 이름이기도 하다.
오늘은 눈을 붙이기 전에 소설책을 꺼내들었다.
어슐러 K. 르귄, <바람의 열두 방향>
뒤에서 두번째 실린 단편이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이다.*
이 이야기는 읽을 때마다 강한 인상을 남긴다.
축제와 온갖 즐거움으로 가득한 행복의 도시 오멜라스**. 그 도시의 지하실에 갇혀 있는 한 아이. 모든 사람들이 그 아이의 존재를 안다.
그러나 그들이 해 줄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다. (중략) 그것이 바로 계약인 것이다.
오멜라스의 행복과 아름다움을 이 아이와 맞바꾸어야 하기 때문이다.
아이를 향한 부당한 행위에 가슴 아파하면서 흘리던 눈물은 현실의 끔찍한 정의를 알아차리고 이를 받아들이면서 메말라 간다. 하지만 오멜라스 사람들의 눈물, 분노, 자비를 베풀려는 시도 그리고 자신들의 무력함을 인정하는 태도야말로 오멜라스 사람들이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진정한 근원이리라.
그러나 이 아이를 본 어떤 이들은 집으로 돌아가지 않고 도시를 떠난다.
성인이든 청소년이든 남자이든 여자이든 상관없이 그 사람들은 모두 혼자서 간다.
어디로 가는 걸까? 상상하기 어렵고 존재하는지조차 모르는 곳이다.
그러나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은 자신이 가고자 하는 곳을 알고 있는 듯하다.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은.
조금 현실적으로, 조금 비관적으로 생각해 보자.
싸고 맛있는 미국산 소고기를 먹고 싶은, 팔고 싶은 사람도 있다.
일몰 후 불법 집회는 공권력으로 엄중 대응해야 한다는 사람도 있다.
......
한나라당이 과반을 차지한 총선이 치뤄진 지 두 달도 지나지 않았다. 청계광장에 수 만명이 모여도 대운하와 재개발을 지지했던 국민들의 선택은 다음 투표까지 변하지 않는다. 한나라당을 지지했던 사람들이 촛불을 들었을 거라고 나는 생각하지 않는다. 정부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는 몇 배의 경찰력과 보수 언론의 왜곡("좌파 세력의 반정부 폭력 시위...")으로 간단히 덮을 수 있다.
그러나 사람들은 촛불을 들고 모인다.
어떤 집에는 현수막이 내걸리고,
어떤 동호회는 신문에 광고를 낸다.
어떤 카메라는 현장을 중계하고,
어떤 시민들은 웃으면서 당당히 연행된다.
배후 세력을 아무리 찾아본들 헛수고리라. 가야할 길을 아는 사람들은 혼자서 가는 법이니까.
주)
* 이 책에 실린 마지막 단편의 제목은 여기서 얘기하지 말자. 작가 왈, "이 이야기는 오멜라스를 떠난 사람들 가운데 한 사람에 관한 이야기다."
** 새로운 SF 전문 출판 브랜드의 이름이기도 하다.
'일상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를 좌절시키는 번역, <솔라리스> (0) | 2008.07.21 |
---|---|
오늘같은 날 다시 읽는 책, <폭력의 세기> (0) | 2008.06.02 |
<생각의 오류>, 그래서 과학적 방법은 소중하다. (1) | 2008.01.27 |
<암흑관>이라는 제목의 두뇌단련 게임 (1) | 2007.12.03 |
Q.E.D. 28권, 깊은 어둠과의 싸움 (1) | 2007.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