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7. 7. 22:41
[일상/잡담]
열흘 전에 같은 제목의 글에서 나만의 PC를 만들기까지 겪었던 공부와 고민과 시행착오에 대해 적었다.
2010/06/27 - [일상/잡담] - 내 작고 조용한 책상 위 PC
그때는 여유가 없어 사진을 같이 올리지 못했는데, 그래도 나름 독특한 PC를 조립했다는 생각에 늦게나마 사진을 찍어 간단한 설명과 함께 올린다.
1. "My Minimal Silent PC"의 기본 재료들
이런 종류의 시스템에서는 케이스가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앞의 글에서도 적었듯이 BQ656은 최선의 선택이지만 아쉬운 점도 많았다. PicoPSU-120-WI-25를 선택하게 된 과정 역시 앞의 글을 참고.
2. 완성된 PC의 내부
케이스에 딸린 80W 파워(IP-AD80A7-2)는 들어냈다. 그러나 PicoPSU의 전원선이 짧다는 사실에서 많은 애로사항이 꽃핀다. 또한 메인보드 P4 전원(12V) 커넥터가 없어서 4pin 전원에 변환 커넥터를 이용했다.
3. PicoPSU가 장착된 부분
4. 백 패널을 포함한 PC의 뒷면
원래 붙어 있던 철판 조각을 떼면 DC 전원 커넥터를 고정시킬 구멍이 생긴다. 문제는 PicoPSU에서 여기까지 선이 오려면 좀 멀리 돌아야 한다는 건데...
5. DC 전원 커넥터로 인한 SSD 장착 공간 문제
전원커넥터가 약간 크기 때문에 아래 사진처럼 케이스 전면까지 우회해야 하며, 2.5" 드라이브가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위치를 가로지른다. 그래서 SSD는 ODD 뒷부분의 공간에 둘 수밖에 없다. 여기는 원래 두번째 2.5" 드라이브를 위한 공간이다. 이 자리에서는 SSD와 DC 전원 커넥터가 직접 닿지 않도록 신경 써 줄 필요가 있다.
6. 시스템의 배치
조립이 끝나면 시스템은 책상 위에 놓이거나 모니터 뒷면 VESA 홀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케이스의 설계자는 두 경우 모두 ODD 트레이가 왼쪽으로 열리도록 위치를 잡는 것을 권장하는 듯하다. 반대로 두거나 눕혀 둘 경우에는 ODD에 디스크를 넣을 때 꽤 불편할 것이다 (트레이의 면이 뒤쪽 벽이나 바닥을 보고 있을 것이므로).
7. 다음으로는
소비전력 측정을 비롯한 여러 기능을 가진 Power Manager란 장비를 구했다. 이 시스템은 얼마나 전기를 먹을까? 다음 번에는 이 시스템의 전기적 성능에 대해 적어볼 계획이다.
참고: 번들 80W PSU와 PicoPSU-120-WI-25의 비교
번들 PSU(IP-AD80A7-2)의 DC 출력 (PSU에 붙은 스티커에서 옮김)
+3.3V | +5V | +12V | -12V | +5Vsb |
7.0A | 5.0A | 6.0A | 0.3A | 1.5A |
72W | 11W | |||
80W |
PicoPSU-120-WI-25의 DC 출력 (Quick Installation Guide에서 옮김)
전압별 최대전류는 서로 높고 낮은 부분이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PicoPSU쪽이 더 큰 용량을 가진다. 물론 AC-DC 어댑터의 용량의 한계가 존재한다. 한편 효율면에서는 어댑터를 고려하더라도 PicoPSU 쪽이 효율이 더 높을 것이라고 silentpcreview에서 얘기하는 것을 본 듯하다.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주님들의 신용카드 (0) | 2010.08.01 |
---|---|
인텔 i3-530, SSD, DC전원 시스템의 idle 소비전력 (0) | 2010.07.11 |
내 작고 조용한 책상 위 PC (2) | 2010.06.27 |
둘째 공주님 (0) | 2010.03.10 |
내 마음의 부분일식 (0) | 2009.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