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독서

시간과 기억 - <스몰 월드>

느린시간 2007. 3. 21. 15:11
시간은 기억을 통해 인식되고, 기억은 시간 속에 존재한다.

[albook|small|right|8990048524|]나이 들수록 왜 시간은 빨리 흐르는가 Why Life Speeds Up As You Get Older, 다우베 드라이스마, 2001

10대, 20대에는 일년이 참 길게 느껴진다. 반면 나이가 들수록 지난 한 해가 어떻게 그리 금방 지나가버렸는지 놀랄 때가 많다. 이 책은 그 의문에 대답하기 위해 자전적 기억(autobiographical memory)의 본질을 심리학의 역사 속에서 탐구한다.

수많은 사건들이 일어난 젊은 시절은 떠올릴 기억이 별로 없는 노년보다 느리게 느껴진다. (회상 효과) 그리고 젊은이의 생체시계는 대개 노인의 생체시계보다 빨리 움직인다. (생리적 시계) 이 두가지 이론은 그 의문에 대한 불완전한 답이다. 그러나 이 책은 시간과 기억에 대한 그 이상의 수많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망각'이란 제목의 장에서는 기억상실증의 진행을 묘사하면서 어떤 할머니가 이미 세상을 떠난 남편에게 쓴 편지가 소개된다. 1분 전에 자기가 쓴 문장도 기억하지 못해 같은 말이 반복되는, 사실인지 모를 과거의 조각들만이 나열된.

작년 가을에 발표차 폴란드에 가는 길에 이 책을 사서 푹 빠져 읽었다. 그리고 오늘, 다른 한 권의 소설을 다 읽은 다음, 책장에서 다시 꺼내 펼친다. 이런 대목이 있다: 노인성 치매 환자가 기억을 잃어버릴 때는, 가장 최근의 기억이 가장 먼저 사라지고 가장 오래된 기억이 가장 마지막에 사라진다...

[albook|small|right|895274246X|]스몰 월드 Small World, 마틴 수터, 1997

치매: 정상적이던 지능이 대뇌의 질환 때문에 저하된 것
알츠하이머 병: 노인성 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 대뇌의 신경세포가 변성, 사멸하는 질환

이 소설은 알츠하이머 병에 걸린 한 남자와 그를 둘러싼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그리고 그의 세상이 변해온, 그리고 변해가는 과정을 다룬 일종의 추리소설이다. 주인공은 알츠하이머 병의 진행으로 기억을 잃어가며 일상적인 행동마저 어려워진다. 그럴수록 그의 어린 시절 기억은 혼란스러운 형태로 드러나며 의문은 깊어진다.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일까? 아이로 돌아간 그가 무서워하는 것은 무엇일까? 병의 진행을 막으려는 노력은 성공할 수 있을까?

비록 추리물로서의 긴장감이 덜하다 하더라도 이 이야기는 살인사건이 아닌 한 사람의 기억을 재구성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색다른 즐거움과 긴장을 준다. 무엇보다 알츠하이머 병에 걸린 주인공의 행동은 너무나 현실감 있게 묘사되어 있어 독자의 안타까움을 더한다.

나는 이 책을 몇 달 전에 인터넷 서점에서 '덤으로' 받았다. 2005년에 번역되어 나왔으나 그리 잘 팔리지는 않았던 모양이다. 그래서 최근까지 손도 대지 않다가 며칠 전에 펴 들었다. 잠자리에서 읽을 책이 다 떨어진 까닭이다. 그런데 내가 언제나 마음에 두고 있는 생각의 실마리 - 시간과 기억 - 가 이런 식으로 이야기가 되어 엮일 줄이야. 덕분에 '나이가 들수록...'까지 보태어 이렇게 감상을 적는다.

덧붙여 잡담...

다우베 드라이스마의 책에는 기억의 은유로 활동사진(영화)을 사용하여, '기억은 왜 거꾸로 돌리기가 안 되는가'하는 의문을 탐구하는 내용이 있다. 우리의 기억은 과거 어디로든 자유롭게 오갈 수 있지만, 제대로 보려면 반드시 시간 순서대로 돌려야 한다는 것. 흥미로운 사실은 요즘의 디지털 동영상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재생된다는 점이다.

디지털 동영상은 프레임frame이라 불리는 연속되는 장면들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용량을 줄이기 위해 데이터 압축이 필요한데, 각각의 프레임은 하나의 JPEG 그림 파일처럼 압축해서 저장할 수 있다. 거기에 더해 이어지는 각 프레임들 사이에서도 이른바 시간적 압축이 가능한데, 그림으로 보자.

이렇게 각 프레임이 그대로 저장될 수도 있지만,
두번째 그림처럼 일정한 간격의 완전한 프레임 사이에 영상이 변하는 부분만을 저장해도 재생이 가능할 것이다. 이 때, 완전한 프레임(1,5)을 키key 프레임, 그 중간의 부분적인 영상만을 가진 프레임(2,3,4)을 델타delta 프레임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렇게 시간적 압축이 된 동영상에서 재생은 키 프레임에서 시작하여 시간의 방향으로만 가능하다. (잘라서 붙이는 등의 편집 작업도 키 프레임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어째 앞서 얘기한 '거꾸로 돌릴 수 없는' 기억과 비슷하지 않은가? 키 프레임과 뒤로 이어지는 델타 프레임들의 한 단위가 기억의 한 토막에 해당한다.

동영상 압축 기술이 인간의 기억 방식을 본떴다는 이 주장은 검증하기가 곤란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