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독서
내맘대로 일본 추리소설 리뷰 2
느린시간
2007. 1. 23. 23:31
그동안 읽은 일본 추리소설들, 다시 한 번 정리해 볼까요?
전에 감상을 적었던 작품들은 고전 본격물과 사회파를 일부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요즘엔 최근 많이 번역되어 나오는, 지금 활동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많이 읽었습니다.
1. 고전/본격
[albook|small-gif|left|894970241X|][albook|small|left|8952746791|height=150][albook|small|left|895274781X|height=150]
외딴섬 악마, 에도가와 란포
란포의 취향은 서커스에서 시작해 인체변형을 거쳐 결국 동굴탐험으로 끝나더라구요. "음울한 짐승"에 비해 너무 통속적인 느낌.
팔묘촌(八つ墓村), 요코미조 세이시
이것도 결국은 동굴탐험 + 보물찾기. 다만 좀 더 재밌어요.
만화 "너버스 브레이크다운"의 에피소드, '아스하카 촌(明日墓村)'의 첫 장을 보면 탐정 미와가 머리에 손전등을 매고 일본도와 총을 들고 있죠. 팔묘촌 옛 살인마의 아이템이네요.
참고로, 최고(!)의 추리만화인 너버스 브레이크다운의 모든 에피소드 제목은 모두 유명 추리소설 제목의 패러디입니다. 작가에게 경의를, 그리고 그걸 모두 조사하신 분께도 감사를.
http://www.h4.dion.ne.jp/~fukuda/nervous.htm
점성술 살인사건, 시마다 소지
이건 전에 따로 얘기했지요. 신본격으로의 다리라고 할 수 있겠네요.
2. 신본격
그러고 보니 신본격이랄 수 있는 작품도 꽤 읽었습니다. 모르고 읽었지만...
[albook|small|left|8990785901|height=150][albook|small|left|8990785987|height=150][albook|small|left|8959750220|height=150][albook|small|left|8901061988|height=150][albook|small|left|8937831236|height=150][albook|small|left|8990785871|height=150][albook|small|left|895298238X|height=150]
십각관의 살인, 아야츠지 유키토
'관' 시리즈의 시작이자 신본격의 선언문.
시계관의 살인, 아야츠지 유키토
'폭풍의 산장' 패턴의 아~주 극단적 형태. 시공간의 고립과 왜곡. 더 이상은 발설 불가.
설정이 아무리 비현실적이라 해도 그것이 만들어낸 흡인력은 놀랍습니다. 두꺼운 분량이지만 밤을 새웠던 기억이...
벚꽃지는 계절에 그대를 그리워하네, 우타노 쇼고
아무리 주를 달고 변명을 해도 이건 서술 트릭이 아냐! 재미는 있지만 다시 읽긴 무리.
작가는 신본격 1세대인데 이 작품은 사회적인 XX문제를 다루었으니 사회파 소설인가?
(까발리기를 피하려니 무슨 말을 할 수가 있어야지...)
여섯번째 사요코, 온다 리쿠
고등학생들의 비밀 이야기는 추리소설로 적당하지 않은지, 장르가 좀 애매해요. 갑자기 토네이도가 몰아치는 장면부터는 귀신 얘기로 흘러가는 느낌. 신본격 작가로서의 데뷔작 치고는 조금 아리송.
삼월은 붉은 구렁을, 온다 리쿠
할머니 옛날 얘기같은 에피소드 넷. 그러나 각각이 오랫동안 곱씹을 수 있는 모티브가 되는, 장르소설이지만 순문학에 가까운 작품입니다. 그때문인지 아직 네번째 에피소드는 못읽었어요. ^^;
모든 것이 F가 된다, 모리 히로시
프로그래밍을 좀 해봤기에 재미가 더한 작품. 다만 탐정의 조수 캐릭터가 완전 에러.
작가가 공대 교수라지만 <오브젝트 지향 시스템 분석 설계 입문>을 권두에 인용하신 건 너무하지 않나요?
잘린머리 사이클, 니시오 이신
트릭, 트릭, 트릭,…… 천재들끼리 재밌게 노는 건 좋은데, 이렇게 마구 결말을 꼬아대면 평범한 독자들은 어쩌라구요.
법칙 하나: (일본에서) 최고의 프로그래머라면 OS쯤은 자기가 만들어 쓴다.
3. 사회파
뭉뚱그려 사회파라고 하지만 이 작가들은 다 제각각인듯...
[albook|small|left|8989722802|height=150][albook|small|left|8954601863|height=150][albook|small|left|8991931138|height=150][albook|small|left|8982738657|height=150][albook|small|left|8984013137|height=150][albook|small|left|8991207456|height=150][albook|small|left|8972753696|height=150]
이유, 미야베 미유키
부동산 버블 붕괴와 법원 경매(제가 속이 쓰리네요, 쩝.)를 가지고 미야베 미유키 식으로 쓴다면 이 소설이 됩니다.
모방범 1-3, 미야베 미유키
와이드쇼와 옐로 저널리즘을 가지고 미야베 미유키 식으로 (구구절절하게) 쓴다면 이 소설 1-3권이 됩니다.
마술은 속삭인다, 미야베 미유키
최면술과 서브리미널 광고기법을 가지고 미야베 미유키 식으로 쓴다면 이 소설이 됩니다.
이 작가는 방대한 소재를 모아 가족애를 버무려 훌륭한 작품을 쓰긴 하는데, 그 독특한 스타일이 이제는 식상해요.
유리망치, 기시 유스케
건축공학, 재료공학, 로봇공학, 인터넷 상거래가 결합된 하이테크 트릭의 완전범죄. 그러나 그 핵심인 의료 머신 루피나스 V는 왠지 좀 개그스러운데, 우리 동네 피부과 광고에 루미니스 레이저 시술법이 나와서 그런가... 1부 탐정 관점의 본격물, 2부 범인 관점의 사회파로 구성되는, 조금은 전형적인 구성.
13계단, 다카노 가즈아키
이 작품은 신본격이니 사회파니 하는 꼬리표가 무색합니다. 추리소설의 재미와 더불어 주제의식을 놓치지 않는 묵직한 전개가 좋아요. 쉽게 대답하기 힘든 질문을 독자에게 던지는, 맘에 드는 작품.
호숫가 살인사건, 히가시노 게이고
아내가 제일 좋아하는 작품. 사교육 문제를 가지고 이렇게 아기자기하면서도 강렬한 이야기를 만들기는 쉬운 일이 아니죠. 미야베 미유키라면 등장하는 가족들의 인생 얘기에 아마도 몇 권짜리 대작을 쓰지 않았을까.
용의자 X의 헌신, 히가시노 게이고
문제를 만드는 것과 그 문제를 푸는 것, 어떤 쪽이 더 어려운지 생각해 볼까요. 그런데 그 전에 왜 문제를 만들고 또 풀어야 하나요? 이 작품의 알리바이 트릭은 정말 신선하지만, 누구 말마따나 이 소설은 진정한 로맨스입니다.
4. 기타
[albook|small-gif|left|8984013048|height=150][albook|small|left|8954218210|height=150]
아임 소리 마마, 기리노 나쓰오
우리 부부 공통 감상: 범죄자든 탐정이든 '괜찮은' 인물이 없다면 읽을만한 얘기가 못 된다.
돌속의 거미, 아사구레 미쓰후미
일본추리작가협회상을 받아도, 기법이 참신해도, 일단 재미가 없어요!
월관의 살인 상·하, 아야츠지 유키토 글/사사키 노리코 그림
철광(鐵狂, 철도 매니아)에게 바치는 만화 작품. 언밸런스한 순정만화 그림체가 어울려서, 사람이 무더기로 죽어나가도 웃긴걸 어떡하죠? 왜곡된 공간과 의외의 범인이란 점에서는 '관' 시리즈의 막내동생답군요. 이 작품 최대의 반전은 상권의 마지막 장면이 아닐까 합니다.
5. 소감
이른바 '신본격'이라고 하는 일군의 소설들을 읽다보면, 빠져들 수밖에 없습니다. 수수께끼 풀이와 반전의 임팩트에 작가가 모든 힘을 쏟아 부었으니까요. 그러나 최근작인 "잘린머리 사이클"을 읽고 나니 경쾌한 문체와 참신한 트릭에도 불구하고, 그런 즐거움도 지나치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사람이 마구 죽어나가는게 싫어서는 아닙니다. ("잘린머리 사이클"에서 죽는 사람은 생각보다 아주 적어요. - 이것도 천기누설) 무엇보다, 바깥 사회와는 담 쌓은 장소에서 보통 사람은 상대도 못할 천재들이 상식과는 수만광년 떨어진 행동을 하고 있다는 설정은, 조금 동화스럽군요. 독심술과 예지력까지 버젓이 인정되는 추리소설에서, 힘없는 독자는 설정을 받아들이고 참여를 포기할까요, 아니면 작가의 공정함을 믿고 뿌려진 힌트를 머리 싸매고 주워담아 볼까요?
결국, 좋은 추리소설이란 무엇일까요? 그게 궁금해서라도 남들이 재밌다는 추리소설은 다 읽어 보렵니다. 제가 사람들에게 강추!할 수 있는 그런 작품을 만날 때까지.
전에 감상을 적었던 작품들은 고전 본격물과 사회파를 일부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요즘엔 최근 많이 번역되어 나오는, 지금 활동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많이 읽었습니다.
1. 고전/본격
[albook|small-gif|left|894970241X|][albook|small|left|8952746791|height=150][albook|small|left|895274781X|height=150]
외딴섬 악마, 에도가와 란포
란포의 취향은 서커스에서 시작해 인체변형을 거쳐 결국 동굴탐험으로 끝나더라구요. "음울한 짐승"에 비해 너무 통속적인 느낌.
팔묘촌(八つ墓村), 요코미조 세이시
만화 "너버스 브레이크다운"의 에피소드, '아스하카 촌(明日墓村)'의 첫 장을 보면 탐정 미와가 머리에 손전등을 매고 일본도와 총을 들고 있죠. 팔묘촌 옛 살인마의 아이템이네요.
참고로, 최고(!)의 추리만화인 너버스 브레이크다운의 모든 에피소드 제목은 모두 유명 추리소설 제목의 패러디입니다. 작가에게 경의를, 그리고 그걸 모두 조사하신 분께도 감사를.
http://www.h4.dion.ne.jp/~fukuda/nervous.htm
점성술 살인사건, 시마다 소지
이건 전에 따로 얘기했지요. 신본격으로의 다리라고 할 수 있겠네요.
2. 신본격
그러고 보니 신본격이랄 수 있는 작품도 꽤 읽었습니다. 모르고 읽었지만...
[albook|small|left|8990785901|height=150][albook|small|left|8990785987|height=150][albook|small|left|8959750220|height=150][albook|small|left|8901061988|height=150][albook|small|left|8937831236|height=150][albook|small|left|8990785871|height=150][albook|small|left|895298238X|height=150]
십각관의 살인, 아야츠지 유키토
'관' 시리즈의 시작이자 신본격의 선언문.
"(전략) 역시 미스터리에 걸맞은 것은 명탐정, 대저택, 괴이한 사람들, 피비린내나는 참극, 불가능 범죄의 실현, 깜짝 놀랄 트릭……, 이런 가공의 이야기가 좋아. 요컨대 그 세계 속에서 즐길 수 있으면 그만이라는 거지. 단, 지적으로 말씀이야.""경애하는 모든 선배들께 바친다"는 헌사가 인상적인 작품입니다. 핵심은 서술 트릭이랄 수 있겠는데, 유심히 읽어보면 결코 반칙이 아닙니다. 평가가 많이 갈린다지만 저는 추천!
시계관의 살인, 아야츠지 유키토
'폭풍의 산장' 패턴의 아~주 극단적 형태. 시공간의 고립과 왜곡. 더 이상은 발설 불가.
설정이 아무리 비현실적이라 해도 그것이 만들어낸 흡인력은 놀랍습니다. 두꺼운 분량이지만 밤을 새웠던 기억이...
벚꽃지는 계절에 그대를 그리워하네, 우타노 쇼고
아무리 주를 달고 변명을 해도 이건 서술 트릭이 아냐! 재미는 있지만 다시 읽긴 무리.
작가는 신본격 1세대인데 이 작품은 사회적인 XX문제를 다루었으니 사회파 소설인가?
(까발리기를 피하려니 무슨 말을 할 수가 있어야지...)
여섯번째 사요코, 온다 리쿠
고등학생들의 비밀 이야기는 추리소설로 적당하지 않은지, 장르가 좀 애매해요. 갑자기 토네이도가 몰아치는 장면부터는 귀신 얘기로 흘러가는 느낌. 신본격 작가로서의 데뷔작 치고는 조금 아리송.
삼월은 붉은 구렁을, 온다 리쿠
할머니 옛날 얘기같은 에피소드 넷. 그러나 각각이 오랫동안 곱씹을 수 있는 모티브가 되는, 장르소설이지만 순문학에 가까운 작품입니다. 그때문인지 아직 네번째 에피소드는 못읽었어요. ^^;
모든 것이 F가 된다, 모리 히로시
프로그래밍을 좀 해봤기에 재미가 더한 작품. 다만 탐정의 조수 캐릭터가 완전 에러.
작가가 공대 교수라지만 <오브젝트 지향 시스템 분석 설계 입문>을 권두에 인용하신 건 너무하지 않나요?
잘린머리 사이클, 니시오 이신
트릭, 트릭, 트릭,…… 천재들끼리 재밌게 노는 건 좋은데, 이렇게 마구 결말을 꼬아대면 평범한 독자들은 어쩌라구요.
법칙 하나: (일본에서) 최고의 프로그래머라면 OS쯤은 자기가 만들어 쓴다.
3. 사회파
뭉뚱그려 사회파라고 하지만 이 작가들은 다 제각각인듯...
[albook|small|left|8989722802|height=150][albook|small|left|8954601863|height=150][albook|small|left|8991931138|height=150][albook|small|left|8982738657|height=150][albook|small|left|8984013137|height=150][albook|small|left|8991207456|height=150][albook|small|left|8972753696|height=150]
이유, 미야베 미유키
부동산 버블 붕괴와 법원 경매(제가 속이 쓰리네요, 쩝.)를 가지고 미야베 미유키 식으로 쓴다면 이 소설이 됩니다.
모방범 1-3, 미야베 미유키
와이드쇼와 옐로 저널리즘을 가지고 미야베 미유키 식으로 (구구절절하게) 쓴다면 이 소설 1-3권이 됩니다.
마술은 속삭인다, 미야베 미유키
최면술과 서브리미널 광고기법을 가지고 미야베 미유키 식으로 쓴다면 이 소설이 됩니다.
이 작가는 방대한 소재를 모아 가족애를 버무려 훌륭한 작품을 쓰긴 하는데, 그 독특한 스타일이 이제는 식상해요.
유리망치, 기시 유스케
건축공학, 재료공학, 로봇공학, 인터넷 상거래가 결합된 하이테크 트릭의 완전범죄. 그러나 그 핵심인 의료 머신 루피나스 V는 왠지 좀 개그스러운데, 우리 동네 피부과 광고에 루미니스 레이저 시술법이 나와서 그런가... 1부 탐정 관점의 본격물, 2부 범인 관점의 사회파로 구성되는, 조금은 전형적인 구성.
13계단, 다카노 가즈아키
이 작품은 신본격이니 사회파니 하는 꼬리표가 무색합니다. 추리소설의 재미와 더불어 주제의식을 놓치지 않는 묵직한 전개가 좋아요. 쉽게 대답하기 힘든 질문을 독자에게 던지는, 맘에 드는 작품.
호숫가 살인사건, 히가시노 게이고
아내가 제일 좋아하는 작품. 사교육 문제를 가지고 이렇게 아기자기하면서도 강렬한 이야기를 만들기는 쉬운 일이 아니죠. 미야베 미유키라면 등장하는 가족들의 인생 얘기에 아마도 몇 권짜리 대작을 쓰지 않았을까.
용의자 X의 헌신, 히가시노 게이고
문제를 만드는 것과 그 문제를 푸는 것, 어떤 쪽이 더 어려운지 생각해 볼까요. 그런데 그 전에 왜 문제를 만들고 또 풀어야 하나요? 이 작품의 알리바이 트릭은 정말 신선하지만, 누구 말마따나 이 소설은 진정한 로맨스입니다.
4. 기타

아임 소리 마마, 기리노 나쓰오
우리 부부 공통 감상: 범죄자든 탐정이든 '괜찮은' 인물이 없다면 읽을만한 얘기가 못 된다.
돌속의 거미, 아사구레 미쓰후미
일본추리작가협회상을 받아도, 기법이 참신해도, 일단 재미가 없어요!
월관의 살인 상·하, 아야츠지 유키토 글/사사키 노리코 그림
철광(鐵狂, 철도 매니아)에게 바치는 만화 작품. 언밸런스한 순정만화 그림체가 어울려서, 사람이 무더기로 죽어나가도 웃긴걸 어떡하죠? 왜곡된 공간과 의외의 범인이란 점에서는 '관' 시리즈의 막내동생답군요. 이 작품 최대의 반전은 상권의 마지막 장면이 아닐까 합니다.
5. 소감
이른바 '신본격'이라고 하는 일군의 소설들을 읽다보면, 빠져들 수밖에 없습니다. 수수께끼 풀이와 반전의 임팩트에 작가가 모든 힘을 쏟아 부었으니까요. 그러나 최근작인 "잘린머리 사이클"을 읽고 나니 경쾌한 문체와 참신한 트릭에도 불구하고, 그런 즐거움도 지나치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사람이 마구 죽어나가는게 싫어서는 아닙니다. ("잘린머리 사이클"에서 죽는 사람은 생각보다 아주 적어요. - 이것도 천기누설) 무엇보다, 바깥 사회와는 담 쌓은 장소에서 보통 사람은 상대도 못할 천재들이 상식과는 수만광년 떨어진 행동을 하고 있다는 설정은, 조금 동화스럽군요. 독심술과 예지력까지 버젓이 인정되는 추리소설에서, 힘없는 독자는 설정을 받아들이고 참여를 포기할까요, 아니면 작가의 공정함을 믿고 뿌려진 힌트를 머리 싸매고 주워담아 볼까요?
결국, 좋은 추리소설이란 무엇일까요? 그게 궁금해서라도 남들이 재밌다는 추리소설은 다 읽어 보렵니다. 제가 사람들에게 강추!할 수 있는 그런 작품을 만날 때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