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독서

<생각의 오류>, 그래서 과학적 방법은 소중하다.

느린시간 2008. 1. 27. 22:50
[albook|small|right|8974271869|width=100]서점에서 눈에 확 띈 책이 있어 샀다.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게 만드는
생각의 오류, 토머스 키다

일단, 다음과 같은 경우를 생각해 보자.

바이러스 감염 검사를 했는데, 양성으로 나왔다. 감염된 것 같다. 다음과 같은 정보가 주어졌을 때, 실제로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확률은 얼마쯤 될까?

- 실제로 감염되었을 경우, 이 검사에서는 100% 양성으로 나온다.
- 실제로 감염되지 않았는데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올 확률은 5%이다.
- 500명 중 1명 꼴로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다.

의료 종사자 중 절반 정도의 사람들처럼 대략 95%라고 대답한다면, 이 책은 아마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정답은 약 4%이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좀 뒤에서 살펴보기로 하자. (책 266-267쪽에서 요약)

이 책은 우리가 빠질 수 있는 생각의 오류와, 그런 오류들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초상현상, 초능력, 외계인 납치, 영매, 동종요법, 대체의학, 미래 예측 등의 여러 가지 사이비 과학 또는 비과학적인 믿음을 해부한다. 때문에 이 책이 강조하는, '과학적으로 생각하는 방법'만큼이나 사이비 과학의 구체적인 사례들도 흥미롭고 유익하다.

그리고 이 책의 핵심 내용은 '여섯 가지 문제'라고 저자가 친절하게 정리해 놓았습니다.
1. 통계수치보다 이야기를 더 좋아한다 - 옆 친구의 경험이 더 그럴듯하다.
2. 확인하고 싶어한다 - 잘 들어맞는 것만 기억하고 빗나간 것들은 잊어버린다.
3. 삶에서 운과 우연의 일치가 하는 역할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 우연의 결과에 불과한데도 원인을 찾는다.
4. 세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 - 보고 싶은 것만 본다.
5. 지나치게 단순화한다 - 쉽게 떠오르는 정보만을 가지고 판단한다.
6. 잘못된 기억을 가지고 있다 - 기억이 변하고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간과한다.

이런 생각의 오류들이 사라지지 않는 까닭은 인류의 진화 과정의 결과로 추측된다고 한다. 사건에 대해 어떤 식으로든 설명하려는 태도가 경쟁에 유리했기 때문에, 단순한 우연의 결과에 대해서도 불합리한 설명을 갖다붙이는 오류가 인간의 사고 과정에 깊이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생각의 오류를 피하는 방법은 지속적인 훈련밖에는 없는 것 같다. 다행스러운 일은 우리에게 확률과 통계라는 과학적인 도구가 존재한다는 것이고, 안타까운 일은 보통 사람들이 확률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하며, 어떤 사람들은 왜곡된 통계로 사기를 치고 있다는 사실이다.

앞에 제시한 바이러스 감염 확률의 문제는 조건부확률에서 도출된 베이즈 정리로 풀 수 있다. 간단하게 생각해 보자: 500명 중 1명은 실제 감염자이므로 양성으로 나타나며, 나머지 499명 중 5%인 24.95명은 감염되지 않았음에도 양성으로 나타난다. 검사 받은 사람이 양성으로 나타난 것은 이들 25.95(=1+24.95)명에 속한다는 얘기이고, 실제 감염되었을 확률은 1/25.95=0.0385... 즉, 3.85%이다.

책에서는 이 예와 관련하여 거짓말 탐지기의 위험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나는 산부인과에서 행하는 수많은 기형아 검사들이 떠올랐다. 결국 돈이 더 드는 양수검사를 권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런 검사들의 결과가 악용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과학'이란 단어는 정확함의 대명사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한계'라는 단어와 같이 다닐 때가 많다. 그러나 과학의 한계를 가장 많이 떠드는 사람들이 어떤 주장을 펴는지, 그리고 그 주장을 어떤 근거로 뒷받침하는지를 보면 우리가 가진 불완전한 도구인 과학이 얼마나 소중한지 다시 한번 실감할 수 있다. 언제나 의심하고 끝까지 확인하는 과학적 방법 이외에 어떤 것이 우리의 삶을 조금이라도 개선시켰는지.

책에 나온 경구들 중에서 둘이 기억에 남는다.

오늘날 이 세계에서 문제가 일어나는 근본 원인은, 어리석은 자들은 확신에 차 있는 반면 지적인 사람들은 의심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다. - 버트런드 러셀
긴 인생에서 한 가지 배운 게 있다면, 실제와 견주어볼 때 우리의 과학은 모두 원시적이고 유치하다는 점이다. 그래도 과학은 우리가 갖고 있는 것 중에서 가장 소중하다. - 아인슈타인